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15년 후에나 개발가능
과학동아
l
199008
공기를 통하게 해 쓰레기 분해속도를 촉진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먼저 매립지를 조성한
뒤
침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을 설치한다. 쓰레기를 쌓는 방식은 '매일복토' 형식을 취한다. 쓰레기를 2m 높이로 쌓으면 흙(연탄재 포함)을 30cm 정도 덮어 냄새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를 ... ...
달라진 천리안Ⅱ 서비스
과학동아
l
199008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메뉴방식은 초기화면에서 지역별 선택을 하고난
뒤
업종 자본금 종업원수 매출액의 메뉴가 화면에 나타나며, 그중 검색대상을 선택하면 해당기업의 프로필이 화면에 나타난다.키워드방식은 지역 기업체명 자본금 업종 종업원수를 한글 및 숫자로 직접 입력하면 ... ...
연체동물이 뿌리는 먹물의 용도는?
과학동아
l
199008
색소가 분출됐다.곧 이어 연구팀은 '느림보'의 천적으로 알려진 말미잘을 수조에 넣은
뒤
관찰을 계속했다. 말미잘이 '느림보'를 3분의 1쯤 삼켰을 때도 먹물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절반쯤 삼키자 '느림보'의 몸에서 먹물이 분출되기 시작했다 "이때의 먹물은 방어용이 아니라 스트레스때문으로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08
미국의 대학들은 모든 연구개발의 원천입니다. 그런데 우리의 대학수준은 엄청나게
뒤
떨어져 있고 또 그 수준이 천차만별입니다. 대학의 연구 능력과 인력 양성에 더 힘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김영-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전세계의 과학자들을 최대한 자기 나라에 끌어 모아 기술강국의 ... ...
마취라 불리는 통증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08
돌아올 때까지의 전 과정이 모두 마취의 영역이라 볼 수 있다.특히 마취를 유도한
뒤
수술이 시작되면서 환자의 전신상태의 관리는 수술중 환자의 생명을 관장해야 하는 마취과 의사의 책임하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마취과 의사들의 책임은 무겁고도 중요하다. 마취의들은 인간의 생명을 ... ...
한글 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008
같다. 상하좌우 화살표키를 사용하여 역전막대를 원하는 항목에 위치시킨
뒤
↲키를 누르면 된다. 메뉴에서 빠져 나가려면 ESC키를 누른다.그런데 메뉴에는 각 항목의 옆에 ^ 나 @의 기호와 알파벳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무엇일까. 해당 항목의 기능을 메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실행할 수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08
표준유적이라고 할수 있었던 만주 고향둔(顧鄕屯) 유적을 찾아 발굴 보고를 한
뒤
에 이 동관진유적을 대하게 된다. 그래서 이 동관진 문화는 고향둔 유적보다 약간 늦은 시대라는 것도 주장하고 있다.그런데 불행하게도 이 보고서에서는 흑요석 격지(몸돌에서 돌망치로 깨져 나온 부분) 2점 (길이 27.5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
과학동아
l
199007
유도했다. 즉 로켓의 최종속도를 발사한 순간의 전(全)중량과 발사후 연료를 다 소모한
뒤
의 최종중량 및 분사가스의 속도 등 세개의 변수로 명쾌하게 표현해 놓았다. 그의 공식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로켓 비행공학의 근본원리로 사용되고 있다.그는 또 다단식(多段式)로켓도 구상해냈고,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07
모래에 찍으면 눌려진 오목(凹)한 곳에 글자가 새겨진다. 그리고 두 인판(印板)을 합한
뒤
용동(鎔銅)을 구멍을 통해 부어 주면 유액(流液)이 오목한 곳에 흘러 들어가서 한자 한자가 완성된다. 이리하여 겹치고 덧붙은 것을 깎아 새겨 정리하였다.”15세기의 조선 학자가 청동활자를 부어 만드는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07
F. Sanger)를 흥분시켰다. 그가 처음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을 결정하는 방법을 고안한
뒤
실제로 적응해 보는 실험을 하기에 인슐린은 더할나위 없이 좋은 대상이었던 것이다. 생거는 1958년 이 업적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는데, 이 일은 왓슨과 크릭의 유전자구조 해명과 더불어 소위 분자생물학의 ... ...
이전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8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