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하마 제도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체되어 바하마까지 가는 길의 중간 정도밖에 가지 못했다.해가 지고 사방이 깜깜해진
뒤
에는 오로지 GPS에 의존해서 배를 몰았다.가슴이 조마조마한 시간. 그 때 저 멀리 등대의 불빛이 보였다. 바하마다!11월 22일. 토요일항구의 동쪽 해안을 탐사했다. 해안에는 맹그로브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거울은 유리 뒷면에 코팅이 되어 있다. 그래서 가까이서 보면 유리 앞면에서 반사된 상과
뒤
쪽 코팅면에서 반사된 상두 개가 보인다. 반면, 망원경에 쓰는 거울은 유리 앞면에 코팅을 해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망원경에 쓰는 반사경은 반사율이 98%에 달하며, 반사율을 유지하기 위해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던 뉴멕시코 소재 산타페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낸
뒤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진화적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경제학, 정치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경계선은 보지 못했습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휴전선을 기준으로 남북 양측이 2km씩
뒤
로 물러나 생긴 폭 4km, 길이 248km의 완충지대 DMZ(비무장 지대)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지역으로 50년 넘게 사람의 손을 타지 않아 생태의 보고가 됐다. 우리강산을 젖줄이라 불러야 하는 이유오늘날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김 박사의 경우 이 DNA 조각이 6억 4000만 개였다. DNA 조각들의 염기서열을 모두 읽은
뒤
마지막으로 컴퓨터에서 이 염기서열들을 다시 한 사람의 게놈으로 맞춰 합성하면 게놈 해독이 끝난다. 개인의 ‘게놈 지도’가 만들어지는 셈이다.김 박사의 게놈 지도는 DNA 길이로 따지면 염기 224억 개를 이은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필요하기 때문이다.군대생활을 하면서 사람의 말을 척척 알아듣는 군견에 매력을 느낀
뒤
애견 훈련사의 길을 시작했다는 이 소장은 올해로 애견 훈련만 20년을 한 베테랑이다. 이 소장은 공인 1급 훈련사로 ‘한국종합훈련경기대회’에서 최우수상 17회, 최우수 지도수상을 12회를 비롯해 국제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모든 기기에는 맥놀이 원리가 활용되고 있다.유재준 교수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고온초전도 물질의 전자구조 이론으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물성이론과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계산과학 연구를 ... ...
아날로그 통신에 푹 빠진 21세기 ‘줄리엣’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서로의 눈동자를 확인하며 말한다는 뜻으로 일종의 ‘번개’ 만남인 셈. 교신을 한
뒤
에는 교신에 응해줘서 고맙다는 증표로 교신기념(QSL) 카드를 교환한다. 심규범(02학번) 씨는 “QSL 카드 수집은 무선통신의 또 다른 재미”라며 “줄리엣의 전파가 더 멀리 퍼져 전 세계 아마추어 무선사들과 QSL ... ...
이과 지망생이 고려할만한 고등학교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창의력 학습을 병행할 것을 권합니다. 이과계열로 선택하더라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유학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외국어고(자사고 중에서는 민족사관고)를 선택하는 편이 좋습니다. 외국어고는 우수한 학생들이 많이 진학하지만 학교 특성상 인문계열 학생이 많이 지원합니다. 하지만 고양외고와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회사나 조선해양 업체에서도 우주항공구조공학 전공자를 선호한다. 대학원을 졸업한
뒤
에는 항공우주연구원이나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한다. 국제적으로 분쟁이 많은 항공법, 우주법 관련 변호사나 항공우주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언론인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 ...
이전
832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