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작용 걱정 없는 유전자가위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2018.08.08
- 장미희 선임연구원팀과 공동으로 유전자 절단 효소인 ‘Cas9’ 단백질을 개량, 유전체 서열 선택성을 부여하는 ‘sgRNA’와 자가 조립이 가능하도록 만드는데 성공했다 고 8일 밝혔다. 생체 조직 내의 표적과 작용하기 용이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예를 들어 OR51E1과 OR51E2 같은 유전자는 어류에도 존재하는데, 포유류와 아미노산 서열이 94%나 일치한다. 반면 코(후각상피)에서만 발현되는 유전자는 비교적 최근에 진화한 것들이다. 척추동물의 후각수용체 유전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바다에만 살던 시절 진화한 1군(class Ⅰ)과 육상으로 ... ...
- 에볼라 바이러스의 감염유전자 활용하는 박쥐종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7.25
- 추정했다. 테일러 박사는 “윗수염박쥐와 현대의 에볼라바이러스의 VP35 유전자 염기 서열은 매우 닮은 것으로 보아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실험실 수준에서 두 유전자의 능력을 측정해, 윗수염박쥐가 가진 VP35 유전자도 면역력을 낮추지만 그 효과가 에볼라 ... ...
-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07.18
- 파장이 달라지도록 설계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암 진단 센서 22개의 염기서열 중 단 한 곳만 다른 miRNA도 구분해낼 만큼 정확하다. 이 책임연구원은 “질병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doi:10.1016/j ... ...
- 별미 북경오리, 유달리 크고 흰 이유 유전자 때문이었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이하 SNP)을 다시 비교분석했다. SNP는 수백개 이하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짧은 염기서열로, 종마다 길이는 같은데 염기 구성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그 결과 28번 염색체에 위치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2에 붙는 단백질 1’ (IGF2BP1)을 만드는 유전자 부위로 인해 북경오리의 크기가 커졌으며, 13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종류가 있다)보다 단세포생물과 더 가깝다는 게 수긍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유전자 서열이 그렇다고 말하고 있다. 진핵생물에서 유전자 진화를 보여주는 데이터로 동물의 가장 가까운 친척이 깃편모충류(Choanoflagellate)임을 알 수 있다. 최근 동물 고유의 유전자로 알고 있던 370여 가지를 동물과 ... ...
- 뇌-유전자-우주의 비밀...스타 과학자 5人에게 듣는다 '사이언스 바캉스 2018'과학동아 l2018.07.06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대해 강연한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를 구성하는 염기서열 일부를 고칠 수 있어 난치병 치료를 위한 획기적인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을 펴낸 김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라는 도구가 인류에게 어떤 도움을 줄 것인지, 또 이에 ...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2018.07.05
- 중인 대표적인 나노 의학 기술을 5개 꼽아 봤다. 1. 미세전자기계시스템 응용 암 염기서열 해독 및 진단 기기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의 초미세 기계인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멤스)를 이용해 만든 초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 기술. 응급 패혈증 ... ...
- 동물도 암에 걸릴까?...바다거북 Yes, 코끼리는 No동아사이언스 l2018.07.03
- 포유류에서 공통적으로 보존된 구역임을 찾아냈다. 이 공통 유전자구역 안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다른 종과 차이가 나는 곳이 코끼리는 3458개, 벌거숭이 두더지 쥐는 4440개, 돌고래가 2408개, 범고래는 2608개, 박쥐는 종별로 약 1만 8000~9000 여 개임을 확인했다. 특히 코끼리에게서만 암을 ... ...
- “그래핀 이용해 DNA 분석할 수 있다” 美 연구팀 주장동아사이언스 l2018.06.27
- DNA가 붙은 다음 전기적 힘에 의해 주름을 따라 펼쳐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염기서열 분석을 쉽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양자 잔주름을 설계하고 통제할 수 있다면 나노 크기의 세계를 다룰때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