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모 보살핌, 신생아 DNA에 영향 미친다… 동물실험 입증동아사이언스 l2018.03.23
- 트랜스포존인 ‘L1 레트로트랜스포존(이하 L1)’에 주목했다. L1은 약 6000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긴 DNA로, 포유류의 경우 전체 게놈의 약 17%를 차지한다. 쥐는 하나의 게놈 안에 약 3000~4000개의 L1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쥐의 뇌세포 게놈에서 L1이 몇 개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8.02.27
- 연구자들은 후속 연구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2월 15일자에 발표했다. 기존에 게놈 서열이 알려진 감귤류 28가지에 새로 30가지의 게놈을 해독해 감귤류의 가계도를 거의 완성한 것이다. 감귤류 58가지의 게놈을 토대로 추정한 감귤류의 기원과 분화, 전파경로를 보여주는 지도다. 이에 따르면 ... ...
- 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 안겨준 DNA 맞춤 과학훈련법과학동아 l2018.02.16
- 나뉜다. ※ 단일염기다형성(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인간의 유전체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은 약 99.9% 일치하지만 0.1% 정도가 개인마다 다른데, 이를 유전변이형이라고 한다. 유전변이형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변이를 SNP라고 부른다. SNP에 의해 외모와 체질, 질병 발생 위험, 약효 등에 차이가 ...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읽어 염기 서열을 읽는다. 30억 쌍에 이르는 DNA 가닥을 순서대로 통과시키기만 하면 전체 서열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로 그동안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길이는 1만 쌍 정도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이아랑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 연구원은 “전기 신호를 더 정교하게 읽어내 1 ... ...
- [표지로 읽는 과학] ‘조직 재생’ 비밀 담긴 멕시코도롱뇽 DNA 염기서열 해독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2.05
- 00배가량 해독 단위가 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이다. 연구진은 여기에 자체 개발한 염기서열 분석 알고리즘 ‘마블(MARVEL)’과 광학적 분석 기법까지 접목했다. 마블은 염기 해독의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여 준다. 분석 결과, 우파루파의 유전체는 2만3000종의 단백질 합성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 ... ...
- 생화학무기 될 수도 있는데...보톡스 생성균 관리 허술 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일부 전문가는 미생물인 균의 유전자는 매 순간 돌연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유전자서열 비교 분석이 큰 의미는 없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이 다툼의 결말은 이제 사법부 손에 넘겨졌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유일한 먹이인 배지에서도 증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염기서열이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게놈 1010개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찾기로 했다. 트레할로스 오페론 민감해져 그 결과 RT027 유형에 속하는 균주들은 모두 treR이라는 유전자의 ... ...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데이터 6만7000여 개를 확보한 뒤 이 데이터를 둘로 나눠 딥러닝 AI로 표적 부위별 염기서열과 염색질의 구조, 유전자 가위의 효율 사이의 관계를 집중 학습했다. 이 방식은 기존 방식보다 정확도가 25%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윤 교수는 “복잡한 데이터를 잘 찾는 AI의 장점을 유전자 가위에 ...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1.24
- 늑대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조사했다. SNP는 같은 종이나 속에서 단일한 DNA 기본 염기 서열 중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 또는 변이를 말한다. 인간의 경우 33억 개의 염기쌍에서 약 0.01%가 SNP이며, 사람마다 염기 1000개 당 한 개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 연구사는 “(SNP 분석에서 ...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상보성이 있다. DNA 오리가미는 이런 상보성을 이용한다. 즉, 서로 짝을 이루는 염기서열을 만났을 때 스스로 결합하는 DNA의 성질을 활용하는 것이다. DNA 오리가미 기술은 DNA 단일가닥이 스스로 결합하면서 나노미터 규모의 정밀한 3차원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연구팀은 DNA 오리가미 기술로 가로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