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서 염기 하나만 바꿔… 근위축증 앓는 생쥐 고쳤다동아사이언스 l2018.04.28
-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 등 4개의 염기가 서로 쌍을 이루며 나열된 염기 서열로 이뤄져 있다. 나란히 위치한 염기 3개가 하나의 코드가 돼 유전자를 구성하는데, 이들 염기 중 하나만 잘못돼도 심각한 유전질환을 앓을 수 있다. 근위축증 역시 근육세포를 유지시켜 주는 Dmd 유전자 ... ...
- 우울증 일으키는 유전자 있다...44개 연관 유전자 구역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결국 우울증으로 발전하게 된다는 것이다. SNP는 같은 종이나 속에서 단일한 DNA 기본 염기 서열 중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 또는 변이를 말한다. 인간의 경우 33억 개의 염기쌍에서 약 0.01%가 SNP이며, 사람마다 염기 1000개 당 한 개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환경변화가 ... ...
- [과학사진관] 낙엽 타는 밤마다 죽음이 향기로운 가을동아사이언스 l2018.04.23
-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84%가 제브라피시에게도 발현된다는 것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으로 확인한 바 있다. 제브라피시의 배아는 투명하다. 어미의 몸 밖에서 자라기 때문에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조작하면 살아 있는 동물에서 일어나는 질병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제브라피시만이 갖고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관심병'의 심리학 2018.04.22
- 마법의 지팡이가 아닙니다. 물리적인 힘이 지배하는 영장류 사회라고 해서, 그러한 힘의 서열이 늘 옳다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사회적인 여론이 지배하는 인간 사회도, 역시 그러한 힘에 의한 질서가 늘 옳은 것은 아닙니다. 배고픔은 당연한 생물학적 현상이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먹다 ... ...
- 투명망토에 한걸음 더...'거울 대칭' 금 나노입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19
- 거울 대칭 구조를 보이는 아미노산 가운데 어떤 모양을 넣느냐에 따라 또는 단백질의 서열에 따라 표면에 만들어진 결정 무늬가 바뀌었다. 마치 태극무늬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무늬가 생긴 금 나노 주사위가 생기기도 하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무늬를 지닌 금 나노 주사위가 ... ...
- 바다에 사는 코브라, 바다뱀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있다. 김 박사는 국내에서 포획된 바다뱀 12마리의 ‘미토콘드리아 Cytb’ 유전자 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본 오키나와현에 속하는 섬들인 류큐 열도 주변 해역과 타이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바다뱀의 유전자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주로 타이완 난류나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 ...
- 독성물질 보톨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04.05
- 류 책임연구원은 “현재 미국, 유럽 등의 유전자 은행은 세계 각국에서 발견된 균의 염기서열을 공개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의 주장에 따르면 이를 공개한 미국과 유럽의 연구소나 기업들은 지적재산권을 포기했다는 의미인데, 이는 합당한 주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출처 : 과학동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정신적 신분사회, 노력하면 행복할까? 2018.04.01
- 집단을 이룬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다만 일반 침팬지처럼 ‘폭력’으로 서열을 정하는 일이 드물다는 것이죠. 현대 사회엔 ‘타고난 신분’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분명 누구나 법 앞에서 평등하죠. 하지만 이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라면, 위계 질서를 인정한다는 말과 ... ...
- 열대 심해 서식 ‘유령오징어’ 동해에 잇달아 출현, 왜?동아사이언스 l2018.03.27
- 정 박사는 긴팔오징어의 유전바코드 분석을 완료했으며,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동욱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기반연구본부장은 “앞으로 긴팔오징어의 출현과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 나갈 것”이라고 ... ...
- 유전체 빅데이터로 질병 유전자 80% 예측…신약 개발 비용·시간 확 줄인다동아사이언스 l2018.03.26
- 알고리즘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기존 알고리즘은 유전체 빅데이터에서 개개인의 염기서열 차이를 나타내는 ‘스닙(SNP)’을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해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후보군을 가려낸다. 남 교수는 “수십만에서 백만 개 이상의 스닙을 대상으로 해도, 부정확한 정보를 엄격하게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