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료관리는 정보활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905
하나의 레코드만을 다룰 수 있다. 현재 다루고 있는 레코드의 번호는 화면 하단에 Rec :
뒤
에 표시된다. 레코드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은 GO이다. GO 명령의 형식은 다음의 3가지중 하나이다.GO TOPGO nGO BOTTOM첫번째는 첫번째 레코드로, 세번째는 마지막 레코드로 레코드 포인터를 ... ...
종(種)의 보존을 위한 의지 발생의 신비
과학동아
l
198904
이를수록 또 하등한 생물일수록 잘 나타난다.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발생이 끝난
뒤
에도 한정된 조정능력을 보이는 경우인데 도롱뇽의 뛰어난 재생능력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반면 일부 바다에 사는 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몇몇 종류들은 이러한 조정능력이 극히 빈약하다. 알세포의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04
그림4는 이렇게하여 측정한 뉴런내부의 전위변화를 기록한 것이다. 유리전극을 꽂고난
뒤
한동안은 대단히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내지만 조금지나면 규칙성있게 반복하는 신호를 내보낸다. 눈으로 보는 바로는 거의 규칙적인 펄스열로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약간이긴 하지만 시간간격이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04
조심해야 한다.교통사고로 숨진 사람의 각막을 하나씩 두 사람에게 이식했더니 13일
뒤
에 두사람 모두 광견병으로 숨진 예가 있다. 교통사고로 숨진사람이 미친개에 물려 광견병이 잠복하여 있는 동안에 숨졌던 것이다. 이것은 파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광견병은 사망률이 거의 100% 이어서 걸리면 ... ...
대기권 밖의 망원경
과학동아
l
198904
알 수 있다. 또 과연 우주가 언젠가는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하여 수십억년
뒤
에는 하나의 커다란 덩어리로 뭉치게 될는지의 여부도 알 수 있다.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하여 은하의 중심을 보다 정확하게 연구할 수 있으며 은하의 중심을 둘러싸는 구상성단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을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04
놀랄만한 일은 아니었다. 이 아기는 확실히 앞을 보지 못하게 돤다.3개월간의 투병
뒤
에 빅토리아는 끝내 숨졌다. 간호원들이 옆에서 눈물을 겨우 참고 있었다. 안트와네트는 간호원들의 마음을 알 것 같았다."지금 나는 여러분이 슬퍼하는 것을 보고싶지 않습니다. 나는 또 위로의 말 한마디도 들으려 ...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
과학동아
l
198904
그런데 같은 장소라도 어제와 오늘과의 온도가 다르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1초 먼저와
뒤
에도 온도는 다를는지 모른다. 즉 T는 시간t의 함수이기도 하다.이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T=T(x,y,z,t)가 된다. 즉 좌변은 온도의 수치이며 우변은 그것이 4변수의 식으로 기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
우리의 실정은 어떠한가? 신물질이 탄생 되기까지
과학동아
l
198904
순수분리 해낼 수 있다. 이어 미생물들을 적당한 영양분이 들어 있는 액체배지에 키운
뒤
이 배양액 속에 유용한 물질이 일단 존재함이 확인되면 대규모 생체 반응기를 이용해 생산에 들어간다.생체물질 유무를 알아내는 스크리닝(screening) 방법중 한가지를 소개한다. 고체배지상에 시료(試料)를 놓고 ... ...
전자제품의 정밀화 소형화에 기여
과학동아
l
198904
드럼대신 캐리어(Carrier)를 활용하고 있다. 이는 캐리어 위에 구리를 도금시킨
뒤
캐리어만 벗겨내는 방법인데 김박사팀도 곧 연구에 착수할 계획이다.앞으로는 얇은 두께는 물론이고 고밀도 고집적 고내열성(동박과 수지를 붙일 때 2백90℃의 열이 생기므로) 고접착성을 최대로 갖춘 동박이 경쟁력을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04
이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탄강은 출혈열 연구의 메카로 영원히 흐를 것이다.그
뒤
나는 출혈열 환자에 유효한 치료약 개발을 착수했다. 병원체 발견 이후 수년간 치료약 개발에 매달렸으나 성공에 접근하지 못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직까지 바이러스에 대한 특효약은 발견되지 못하고 있는 ... ...
이전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