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의 진화
과학동아
l
198604
설명했다는 것은 옳은 말이다. 여러 과학자들이 이새로운 학설에 반대했지만 몇해
뒤
에는 많은 나라에서 이를 받아들이게 되었다.그렇지만 다윈의 진화론에는 몇가지 허점이 있다. 이는 무엇보다 그 당시 유전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근대유전학의 효시가 된 '멘델'의 '잡종식물연구 ... ...
소련 제3세대 우주정거장「미르」발사
과학동아
l
198604
,7)은 전장 약40m, 최대중량 약40t으로 추정된다.'미르'가 샐류트6,7과 다른 특징은 앞
뒤
합해 6개의 도킹장치를 갖추어'우주공장' 건설에의 길을 연것이다. 6개의 도킹장치 중 5개는 반구형에 가까운 앞쪽에 있다. 샐류트와 같이 앞쪽 중심부에 도킹장치가 1개 있고 그 상하좌우(중심축에 수직방향)에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04
무기가 갖추어야 할 완성도에는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비행거리가 짧다든지 기동성이
뒤
진다든지 요격에 약하다는 등 전투기로서는 몇가지 기본적인 약점을 갖게 될 지도 모른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텔드'는 미 국방성의 안팎에서 나름대로 큰 매력을 주고있다. 연방정부가 이 비행편대를 사들일 ... ...
가장 오래된 식물은 어떤 것들인가
과학동아
l
198604
지금으로부터 약38억년전에 바다에서였다. 바다동물이 나타난 것은 이보다 훨씬
뒤
의 일이었다. 오랫동안 바다에서 살던 식물이 육지로 올라온 것은 약 4억년전 (고생대 데본기 초)이었으며 그로부터 점점 번식하여 지상에 대삼림을 이루게 되기까지는 1억년이란 긴 세월이 소요되었다.그런데 ... ...
현대선박해양연구소(HYUDAI MARITIME RESEARCH INSTITUTE)
과학동아
l
198604
자동화된 기계를 컴퓨터로 작동하게 조작해 놓으면 사람이 없어도 정확하게 만들어낸
뒤
기계가 정지된다는 것이다. 프로펠러 모형 제작만이 아니다. 선체 모형을 만드는 과정을 비롯 모든 기기가 첨단화되어 최소한의 일만 사람이 직접 다룬다는 것이다.우리나라의 조선해양개발 연구기관이 이런 ... ...
생명의 기원과 진화
과학동아
l
198604
진화의 흐름을 통해서 보면 현대의 인간활동도 역시 진화의 일부다. 1만년
뒤
나 1백만년
뒤
에 인간은 어떻게 진화되어 갈것인가. 지금까지 인간이 이룬 큰진화는 형태상의 진화보다 행동상의 진화였다고 할수있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도 계속되면서 인간을 지금까지 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 ...
결함DNA를 잘라낸다
과학동아
l
198604
암에 다음가는 3번째의것이다.심장마비나 뇌일혈과 관련된 인체의 화학적변화가 잠을 잔
뒤
에 어떤모습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겨우 최근에야 조금씩 알려지고 있다. 예컨대 혈소판(platelet) 이라고 불리우는 혈액세포는 아침에 엉겨붙는 일이 잦은데 이것은 심장이나 뇌의 동맥을 막히게하는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04
것은 1521년이었다. 이때 비로소 서부태평양의 섬이 많은 이지역이 유럽에 알려졌다. 곧
뒤
이어 스페인의 항해가 '빌리야로보스'가 1543년 민다나오섬에 상륙, 스페인 황태자 '필리페 2세'의 이름을 따서 필리핀제도라고 명명했다.그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자연은 거의 변화함이 없이 보존되고 있고 ... ...
꽃은 언제 어떻게 피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04
개나리 산철쭉 등에서도 볼 수가 있다.한편, 4월 중순무렵 평지에 핀 진달래꽃을 보고난
뒤
5월25일경에 산정 가까이에 핀 진달래를 다시 볼 수가 있다.고산지대에서는 기온이 낮으므로 꽃이 늦게 피기 때문이다. 서울시내에 있는 꽃나무들이 서울 교외보다도 보통 1주일 가까이 빨리 꽃피는것도 같은 ... ...
우리나라에는 왜 소나무가 흔한가
과학동아
l
198604
이 말은 1920년경 동경대학의 '혼다'(本多)교수가 조선총독의 초청으로 한국임야를 시찰한
뒤
귀국하여 강연을 하던중 "소나무가 산에 많아지면 나라가 망한다"고 한데서 비롯됐다.그러나 소나무는 반드시 배척될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나무의 변종인 금강송은 페인트의 도움없이 수백년을 ... ...
이전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