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성분
요소
소재
자재
밑감
원재료
뉴스
"
원료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약품 핵심
원료
‘비천연 아미노산’ 국산화한다
2014.11.26
아미노산과 달리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아미노산으로 의약품이나 식품을 제조할 때 핵심
원료
로 쓰인다. 그간 비천연 아미노산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해왔다. 연간 비천연 아미노산은 수입 규모는 500억 원에 이르며, 독일과 일본이 주 수입국이다. 전세계적으로 비천연 아미노산의 시장 규모는 3조 ... ...
숙주나물 되는 녹두의 유전체 지도 첫 완성
2014.11.19
될 전망이다. 이석하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팀은 숙주나물의
원료
인 ‘선화녹두’의 유전체 전체의 염기서열을 처음으로 해독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기(NGS)를 이용해 녹두의 염색체 11개, 약 2만3000개 유전자의 염기서열 전체를 해독했다. 또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 포스텍 제공 이진우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실리카와 티타늄, 열경화성수지 등
원료
물질을 혼합한 뒤 열을 가하는 공정으로 매크로기공과 마이크로기공을 가진 무기질 소재를 합성했다. 연구진은 600도의 고온에서 실리카와 티타늄은 그대로 남고, 열경화성수지 등의 고분자 물질이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둘의 장점만 지닌 전극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금속화합물을 포함한 탄소계
원료
용액을 가느다란 관을 통해 뿜어내면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겉에 구멍이 많고 속은 비어 있는 공 모양의 탄소계 물질을 만들었다. 이어 이 물질 속을 금속화합물로 채워 새로운 구조의 소재를 개발했다. ... ...
[이주의 과학 신간]돈 만드는 나무를 아시나요? 外
2014.10.26
향기에 반해 묘목까지 키웠던 삼지닥나무는 본래 지폐를 만들 때 쓰던 고급 종이의
원료
로 쓰였다. 하지만 주로 따뜻한 남쪽지역에서 살기 때문에 서울의 추운 겨울은 견디기 힘든 종이라고 한다. 기후에 맞지도 않는 식물을 억지로 옮겨온 것이 달콤한 향기를 곁에 두려는 욕심은 아니었는지 ... ...
[사이언스 브리핑] 김상연 과학동아 편집장 ‘제48회 한국잡지언론상’ 기자부문 수상자 선정 外
2014.10.24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다. ■이분열 아주대 분자기술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원료
로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롯데케미칼에 이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플라스틱은 박테리아와 곰팡이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면서도 기존 플라스틱의 물리적 ... ...
구리+아연+주석=친환경 박막 태양전지
2014.10.14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연구팀은 “독성이 없으면서도 흔한 원소로 만든 나노결정
원료
를 유해한 화학물질 없이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며 “제조한 나노결정이 대기 중에서 1년 이상 안정하다는 점도 확인돼 박막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 ...
애벌레 한번 잡숴봐~
2014.10.08
우리 식탁에 오를 곤충이 하나 둘 늘어갈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지난달 30일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를 한시적 식품
원료
로 지정했다. 한시적 식품
원료
는 승 ... 귀뚜라미도 식용화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연구가 마무리되면 새로운 식품
원료
로 신청할 계획이다. ... ...
생물자원전쟁, 한국이 중재한다
과학동아
l
2014.10.05
침투해 며칠 안에 죽게 만든다. 대만과 인도에서는 이미 널리 쓰이는 친환경 살충제의
원료
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이번에 처음 발견했다. 울릉도에서 발견한 곰팡이는 ‘베르티실리움 렙토박트럼’ 종으로 양파, 참외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과 진딧물을 잘 죽인다. 이 곰팡이는 선충의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전극을 이용해 휘어지는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9월 30일 밝혔다. 종이의
원료
인 셀룰로오스는 나무의 주성분인데, 연구진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나노 크기로 잘게 갈아 ‘나노종이’를 만들었다. 이 종이에는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기존 배터리의 플라스틱 분리막을 대체할 수 있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