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사람과 치타가 날쌔게 달리고, 돌고래는 하늘 위로 슝~! 점프를 했지요. 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도면에는 친구들이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려서 자신만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도 있었답니다.실험에 참가한 이윤수 친구는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그림을 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니 신기하다”고 ... ...
-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웃음이 난다. 어떤 부위는 특히 더 간지럽다. 간지럼을 느끼는 원리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최근 실마리가 될 만 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훔볼트대 베른스타인센터 마이클 브렛 교수팀은 쥐 실험을 통해 두뇌의 ‘체감각피질’에서 간지럼을 느낀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쥐의 대뇌피질에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적합도 이론도 틀렸다고 부르짖는 학자도 있다. 오랫동안 포괄 적합도 이론을 열렬히 지지했던 에드워드 윌슨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윌슨의 극적인 태도 변화는 나중에 다룰 기회가 있겠지만, 윌슨이 범하는 논리적 오류를 이렇게 끄집어 내보자.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식물의 기능 중 하나는 영양분을 ‘저장’해 두는 거예요. 저장의 뜻은 단어를 이루고 있는 한자를 살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쌓을 저(貯)’와 ‘감출 ... 나타낸답니다.이렇게 서로 다른 두 개의 ‘지’가 합쳐져 ‘붙들어 버티다’를 뜻하는 ‘지지(支持)’란 한자어가 됐어요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충분히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한 명의 외국인 과학자가 낸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996년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지질과학총회(IGC)에서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을 두고 또 한 번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결국 회의에 참석한 세계 화산학자들이 직접 가서 보고 판단하기로 하고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위해서도 중요하다. 야생식물은 식량작물에 비해 기초적인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종자의 수명이나 발아 조건 등 기본적인 특징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김 연구관은 “해외에서 맡긴 종자를 연구해 경제적인 이윤을 얻을 수 있게 될 경우 합법적으로 이익을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잡았잖아”가 그 예다. 결국 누가 잘못했는지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동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암시를 준다. 둘째는 조건부 사과다. “불쾌하셨다면 사과드립니다”가 대표적이다. 피해자가 가해자의 의도를 오해했다든지 피해자가 너무 유약하다는 식이다. 자신의 책임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외부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텔로미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사람이 심리적으로 받는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텔로미어를 짧아지게 만든다는 사실들이 차츰 밝혀지고 있다(doi:10.1371/journal.pone.0093839).우리가 살면서 심적 고통을 가장 빈번하게 느끼는 장소는 ... ...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양쪽이 똑같이 포개지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ㄹ’은 세로, 가로 어느 쪽으로도 포개어지지 않는다. 대신 중심의 한 점을 기준으로 대각선을 긋고 180˚ 회전하면 같은 모양이 된다. 그래서 ‘ㅂ’은 선대칭 도형이고, ‘ㄹ’은 점대칭 도형이다. 또 ‘ㅍ’은 가로축, 세로축, 그리고 대각선축 모두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저밀도인 지역은 텅 빈 공간으로 진화한다. 이 비균일도는 초기 우주의 급팽창 이론을 지지하는 중요한 증거이기도 하다.우주가 등방하다고 말하는 것은 이 비균일도가 통계적으로 어느 방향이나 동일하다는 의미다. 10만 분의 1의 정밀도로 우주배경 복사 에너지를 관측하면 오늘날 관측되는 은하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