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나쁜 짓 아냐? 왜 처벌을 받지 않는 거야?”“그 이유는…, 비밀 과학 집단의 정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야!”이 이야기를 듣고 시원이가 호기롭게 소리쳤어요.“그래? 그렇다면 그 나쁜 녀석들의 정체를 우리가 밝혀내자!”“어…, 어떻게?”“범인은 흔적을 남기는 법! 자석 가루를 ...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금 이 글은 그 모임으로부터도 한 달이 지나서 쓴다.그 한 달 사이에 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가 15%포인트나 올랐다. 오늘 아침에는 신문에서 ‘확 달라진 청와대, 레임덕은 없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읽었다.불길한 예감을 떨치지 못해 오랫동안 망설이다가 이 글을 쓴다. 내가 보고 듣고 겪은 ... ...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배우고 있었다.모두가 참여하는 수업한국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은 아직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박 교사도 처음 수업을 준비할 때는 지침이나 참고할 자료가 많지 않아 막막했다. 그래서 박 교사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만들기로 했다.박 교사는 각종 인터넷 사이트와 관련 서적 및 영상을 찾아 ...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서정선 교수팀은 염기서열을 기존보다 100배나 빨리 읽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이전에 밝혀지지않았던 곳까지 찾아냈다. 가장 의미 있는 사실은 한국인의 유전체를 정확하게 밝혀냈다는 점이다. 이번에 밝혀낸 한국인 표준 유전체를 활용하면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에게 효능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현대 지하도시 건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암반 채굴과 공간 지지 및 보강, 지하수 배출, 환기와 채광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먼저 채굴을 보자. 1960년대 이후 개발된 강력한 거대 굴착 장비 덕분에 지금은 어떤 조건의 암반도 어렵지 않게 뚫을 수 있다. 특히 거대 중장비 ... ...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생이 멈췄다. 윤리적인 문제도 있다. 이 방법을 인간에게 적용하려면 마찬가지로 난소 지지 세포를 추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야시 박사는 현재 이를 대체할 인공 용액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10월 7일자에 실렸다 ...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들의 출처나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은 서로 다르다.miRNA의 출처는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DNA의 인트론 부위에 있는 염기서열과, mRNA에서 단백질 합성과 관련 없는 염기서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트론은 DNA에서 단백질 생성에 필요한 재료인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정보가 ...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견이 갈렸다. 사람과 닮은 로봇에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1년 7월, 미국 UC샌디에이고 인지과학 및 신경과학과의 아이세 피나르 세이진 교수팀이 불쾌한 골짜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다(doi:10.1093/scan/nsr025). 연구팀은 ... ...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당시 페스트균이 퍼졌던 지리적 범위와 사망에 이르게 한 영향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최근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인류사학과 마이클 펠트만 박사팀은 당시 페스트균의 유전자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으로 죽어 독일에 묻힌 여성 유골의 셋째 어금니에서 비교적 잘 ...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장군에게 바쳐졌다. 그 장군이 의수를 장착하고 전쟁에서 활약했는지는, 아쉽게도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Bionic Hand파레 이후 19세기까지는 다시 의수 분야에 큰 진전이 없었다. 19세기 초, 독일의 치과의사 피터 발리프가 인류 최초로 ‘스스로 움직이는’ 기능 의수를 만들었다. 팔꿈치와 어깨를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