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979년부터 리보솜의 구조와 유전적인 원리를 연구하기 시작했지만, 그를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에게는 안정적인 연구비도, 풍부한 네트워크도 없었지만 두 번의 만남과 연구비 지원이 20년간의 연구 끝에 노벨상 업적을 내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첫 번째 만남은 독일 막스플랑크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견이 갈렸다. 사람과 닮은 로봇에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1년 7월, 미국 UC샌디에이고 인지과학 및 신경과학과의 아이세 피나르 세이진 교수팀이 불쾌한 골짜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다(doi:10.1093/scan/nsr025). 연구팀은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장군에게 바쳐졌다. 그 장군이 의수를 장착하고 전쟁에서 활약했는지는, 아쉽게도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Bionic Hand파레 이후 19세기까지는 다시 의수 분야에 큰 진전이 없었다. 19세기 초, 독일의 치과의사 피터 발리프가 인류 최초로 ‘스스로 움직이는’ 기능 의수를 만들었다. 팔꿈치와 어깨를 ...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모습이 인상적이었던 엑스브레인. 그들이 일하는 모습을 보면 아직 대학생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을 만큼의 전문성이 돋보인다. 그리고 열정은 그 누구보다 뜨거웠다. 그들이 앞으로 만들어갈 엑스브레인의 이야기가 기대된다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탐사 기간 동안 7TB(테라바이트) 분량의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다. 그 결과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달의 용암 분출 흔적을 찾아내는 등 1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중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된 위투는 무게가 140kg으로, 시속 200m의 속도로 움직이며 달의 북반구에 위치한 훙완 구역을 탐사했다. 20 ... ...
- [지구의 날 특별 프로젝트] 멸종위기 못친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동영상을 통해그 동물에게 투표해 달라는 메시지를 여러분께 보내왔어요. 여러분은 지지자들이 찍은 영상을 보고,가장 매력적이라고 생각되는 동물에게 투표하면 된답니다 ... ...
- [특별 인터뷰]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 푹~! 이봉주 선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못·친·소 지지자 중 10년째 를 보신 분이 있다고 해요. 바로 마라토너 이봉주 선수 가족이랍니다. 이봉주 선수의 아들인 우석이와 승진이는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빠져 있다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들어 봐요!올해 10년째 어과동을 보고 계시네요. 대단해요~!2007년에 제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인 올림푸스몬스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과학자들은 화성 내부의 엄청난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폭발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또한 화성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3분의 1 정도예요. 이 때문에 용암이 지구에 비해 덜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신비로운 부분을 꼽으라면, 바로 뇌입니다. 한 사람의 모든 걸 결정하는 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너무나 많아서 연구자들에겐 더 매력적이죠. 뇌는 하나의 기관이지만, 오만 가지의 일을 다 합니다.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도 다 뇌에서 신호가 발생해 이뤄지죠. 그래서 뇌는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토록 오랜, 배타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할 필요는 없었을 터다. 아직 다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이 유아의 발달 과정과 성인의 여러 가지 면역 및 신경계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인간이 가진 수만 종의 미생물 가운데 오랜 시간 공진화해온 미생물에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