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판도라 별서 나온 '우주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삼각형의 흔적도 보이는데, 이는 입자들의 흐름 때문에 생긴 것이다. 고속정이 지나가며
뒤
에 남긴 물 흐름과 비슷하다. 특이한 나선형 모양은 아직까지 수수께끼다.우주 토네이도는 별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다. 판도라 상자와 달리 별 탄생이라는 희망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그래서일까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백남준이 플럭서스에 참여하게 된 계기를 만든 작품이며 그때 그의 나이 29세였다. 그
뒤
로 저돌적이면서 공격적이고 파괴적이며 희극적인 행위는 이후 백남준 예술의 근본형식으로 자리 잡는다. 백남준 예술의 시기 구분과 작품 제작 배경엔 1961~1964년 고급문화 제도와 전통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 ...
기술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해도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불모지나 다름없던 유럽은 고밀도 농업 방식이 정착된
뒤
복잡한 기계장치와 동력원에 대한 개발이 급속도로 진전하면서 역사의 주도권을 잡게 됐다. 저자들은 그 이유를 16, 17세기 유럽의 과학혁명에서 찾고 있다.이들은 “중세 유럽은 인간의 근력을 주요 동력으로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태어나자마자 집안에 개나 고양이 두 마리 이상을 두고 1년 이상 함께 지내면 6~7년
뒤
알레르기 발생확률이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결과를 ‘미국 의사회지’에 발표했다.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원인은 개나 고양이의 피부와 침 속에 있는 세균 때문이다. 아기가 개와 접촉할 때 세균의 독소에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각 기술의 장단점 때문에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결국 두 기술 모두 별도 제품으로 출시된
뒤
시장에서 소비자의 판단에 따라 최종 승자가 결정될 것이다. 현재 어느 방식이 성공할 지는 전문가들조차 여러 의견으로 갈라져 있으므로 결국 시간이 최종 승자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4세대 ... ...
친절한 거미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연구되고 있죠.” 김 박사의 거미에 대한 찬사는 이어졌다. 거미에 대한 강연을 들은
뒤
세계와 한국 거미 표본 4000여 점이 전시돼 있는 주필거미박물관 제1전시관으로 향했다. 다양한 거미의 종류에 입이 떡 벌어졌다. 김 박사가 30년 넘게 거미 연구를 하면서 모아온 것들이다. 독은 있지만 해는 ... ...
술집에 간 남과 여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임상과 실험 연구’에 실렸다.연구팀은 같은 양의 알코올을 암컷과 수컷 쥐에 주사한
뒤
엎드렸다 네 발로 벌떡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더 빨리 일어났다. 그러나 발정기가 시작돼 호르몬 수치가 가장 높이 올라간 암컷은 평소보다 일어나는 속도가 10%나 느려졌다 ... ...
이래도 위조할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우리나라 지도, 태극과 5000, 4괘가 번갈아 나타난다.8. 요판잠상 _ 눈 높이에 돈을 맞춘
뒤
비스듬히 기울여 보면 숨어 있는 ‘WON’이 나타난다.9. 숨은 은선 _ 앞면 초상 오른쪽에 숨어 있는 띠를 빛에 비춰 보면 작은 문자가 보인다.10. 색변환잉크 _ 보는 각도에 따라 액면숫자의 색깔이 황금색에서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의 합성어로 생물이 갖고 있는 전체 유전정보를 뜻한다. 인간 유전체 정보가 해독된
뒤
대량의 유전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의미 있는 유전자를 발굴해내는 연구 분야를 통틀어 ‘지노믹스’(Genomics)라고 부른다.프로테오믹스 : 프로테옴, 즉 단백질체(Proteome)란 생물이 갖고 있는 모든 단백질을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전이라도 언어생활을 편하게 하자는 취지에서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30년
뒤
한국어의 장단이 사라진다노년층 이하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변화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음의 길이인 장단이 사라지는 현상이다. 17세기부터 국어에서는 음의 높낮이인 성조가 없어지며 대신 장단으로 ... ...
이전
954
955
956
957
958
959
960
961
9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