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음악 깔리고 커튼이 약간 내려온다.) 에 필 로 그(해설자 등장. 조명이 집중된다.
뒤
로 출연배우들이 차례로 나와 선다.)해설자 : 여러분, 재미있게 보셨나요? (관객들 대답한다) 줄기세포는 만병통치약이 아닙니다. 손상된 세포의 기능을 복구하는 재생의학 개념이죠. 이 연극이 던지는 메시지는 바로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것들이 있을까.1992년과 1993년, 1999년에 각각 우리별(KITSAT) 1호와 2호, 3호가 발사됐다. 그
뒤
를 이어 2003년 과학기술위성(KOMPSAT) 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과학기술위성은 우리별위성의 새로운 이름이다. 과학기술위성은 100kg 내외의 초소형 위성으로 아리랑위성 등에 사용하기 위한 신기술과 부품을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교수팀과 10여 년의 공동 연구로 개발한 로봇 조립 교재로, 1997년 미국에 처음 소개된
뒤
로 어린이들부터 기계공학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사랑을 받은 제품이다. 먼저 레고 브릭(brick)으로 로봇의 뼈대를 조립한다. 그리고 RCX라는 8비트 CPU가 로봇을 제어하는 두뇌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에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하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으로 뇌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테스토스테론 냄새를 맡은
뒤
동성애 남성과 이성애 여성은 성 행동을 관장하는 뇌 부분이 강한 반응을 보였으며, 이성애 남성은 아무 변화가 없었다. 특히 뇌에서 동성애 남성과 이성애 여성의 반응은 시상하부 영역에 집중됐다. 또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다비처’의 정체가 밝혀졌다. 그림자 문제를 낸 것은 다름 아닌 아홉 살꼬마. 하지만 그
뒤
에는 거대한 검은 조직이 숨어 있었던 것. 그 조직의 이름은‘까마케롬다만드러’. 이제는 그 검은 조직이 다시 썰렁 홈즈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번과는 다른 그림자 문제로 승부를 걸어 온 것이다. 다시 ... ...
"모터 없이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풀면 고무줄의 탄성에 의해서 프로펠러가 돌게 돼. 프로펠러의 날은 회전하면서 공기를
뒤
로 밀게 되고 날이 밀어 낸 힘과 같은 크기의 힘으로 자동차는 앞으로 가게 되는 거야. 이 역시‘작용과 반작용’의 원리가 숨어 있는 거지. CD와 요구르트병을 이용해 만든 바퀴도 독창성이 돋보이는걸.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HDD의 홈그라운드는 컴퓨터였다. 1956년 최초로 등장한 HDD는 용량이 불과 5MB였지만 몇 년
뒤
16비트 컴퓨터에는 40MB짜리가 장착됐다.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HDD는 부지런히 용량을 늘리면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자리 잡았다.1990년대 초부터 가속이 붙었다. 연세대 기계공학과 박영필 교수는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당했습니다. 비명 소리에 놀란 형수가 달려갔을 때 이미 한 괴한이 문밖으로 도주한
뒤
였고 형님은 칼에 찔려있었습니다. 억울한 죽음을 복수해 주소서.’현장에 출동한 여주군수 이준규가 용의자 이춘경을 추궁하던 중 그가 차고 다니던 칼이 발견됐다. 혈흔(血痕ㆍ핏자국)을 찾기만 한다면 중요한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비가 밤새 내린
뒤
맑게 갠 아침, 출근길에 새소리를 들었다면 사람들은 아마도 즐거운 마음으로 새소리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려 한번쯤은 새를 찾아볼 것 같다. 사람은 어떻게 보지 않고 소리 나는 곳으로 고개를 돌려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까? 그것은 사람이 두 귀를 통해서 소리를 들을 수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않은 세포덩어리”라는 게 황 교수팀의 입장.‘사이언스’는 황 교수 논문 바로
뒤
에 ‘정책포럼’ 코너를 마련해 생명윤리학자인 미국 스탠포드대 데이비드 매그너스 박사와 밀드레드 조 박사의 논평을 실었다. 이들은 과배란을 유도한 여성 중 적게는 0.3%, 많게는 10%까지 통증 또는 신장이상이 ... ...
이전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