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관측하는 것은 우리은하의 미래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은하도 수십억년
뒤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할 운명이기 때문이다.찬드라가 바라본 태양계 풍경 이제 찬드라의 앵글을 태양계로 돌려보자. X선 망원경에 포착된 태양계 행성들은 색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목성의 경우 남극과 ... ...
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시대다. 더 심각한 상황은 10년 내 석유 생산이 줄어드는 진짜 대란이 시작되고 41년
뒤
에는 지구에 매장된 석유가 바닥난다는 현실이다. 화석연료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손꼽히는 것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수소. 이들은 과연 지구촌에 몰아 닥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아직까지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채굴할 수 있는 석유는 모두 1조8천억 배럴이며 이중 절반을 써버리는 시점은 1-2년
뒤
라고 전망한다. 한국은행도 최근 “2007년경 석유생산이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펴내 비관론에 무게를 더 실었다. 특히 한국은행은 석유 공급이 불안해지면 천연가스, 석탄도 함께 값이 뛰어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없이 넘어지면서 걸음마를 배우는 중입니다.”김정엽씨는 “걷는 프로그램을 만든
뒤
오류를 고치는 작업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로봇이 걷다가 갑자기 다리를 쭉 뻗거나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허리를 비트는 일이 잦았다. 하나하나가 모두 고쳐야 할 문제였지만 왜 그런지 도대체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 곳으로 집중해 더욱 뜨거워진 열로 발전하는 방식도 있다. 땅에 반사경을 많이 설치한
뒤
반사된 빛을 중앙에 집중시켜 전기를 얻는 것이다.사막처럼 햇빛이 강하고 비가 적은 곳에서 대량으로 발전을 하는 방식도 구상되고 있다. 송 박사는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 네 나라가 고비 사막에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점이 마치 계속해서
뒤
로 옮겨가는 것처럼 보이는 특징이 있다. 관측 결과 정체 지점이
뒤
로 옮겨가는 속도는 시간당 15-18km 정도로 일정하다고 한다.그런데 정체상태와 차량 수는 비슷하더라도 어떤 경우에는 ‘동기흐름’이 나타난다. 동기흐름은 차량 각각의 속도는 자유흐름보다 느리지만 서지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가까운 쪽에 큰 반사면을 설치해 낮은 음이 충분히 객석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객석
뒤
쪽으로 갈수록 천장 높이를 차츰 올린다거나 천장 곡률을 조정한 것은 넓은 범위의 소리를 반사시키기 위한 아이디어다.이밖에 악기에서 나온 소리가 처음 부딪히는 무대주벽과 전면벽, 무대측벽 재료로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상황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쟁 중 다리가 잘린 병사가 병원에 온
뒤
에야 아프다고 느끼는 이유는 생명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긴장감이 병원에 오기 전까지 통증을 억눌렀기 때문이다. 사람의 정신력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알 수 있는 사례이기도 하다.폐암과 간암 조기발견 어려운 ... ...
폭탄 찾는 나방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폭탄이 있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개에게 밥을 주기 전 종소리를 들려준
뒤
종소리만 내도 개가 침을 흘리게 하는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실험’ 을 응용했다. 나방에 음식(설탕)을 주기 전에 폭탄 냄새를 같이 맡게 하자 나중에는 폭탄 냄새만 맡아도 음식을 먹는 것처럼 뇌세포가 60% 정도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사용된 무기였는데, 창에 매달아 놓은 통에 화약을 넣고 불을 붙이면 화약이 타면서
뒤
로 분출되는 연소가스의 반작용으로 앞으로 날아가게 만든 강력한 무기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인 고려 말 최무선의 ‘주화’ 역시 비슷한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 만약 배낭로켓을 탄 사람이 기계고장으로 ... ...
이전
990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