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d라이브러리
"
공로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5
그럼에도 프리스틀리가 셸레보다 먼저 논문을 발표했기 때문에 그에게 산소 발견의
공로
가 돌아가게 됐지요.하지만 이들은 새로 발견한 기체를 플로지스톤 이론으로 해석해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간 공기’라고 불렀어요. 당시 과학자들은 ‘플로지스톤’이 종이나 숯처럼 잘 타는 물질에 포함돼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오른쪽 사진)을 복구하기도 했답니다. 그는 이런
공로
를 인정받아 2014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
점핑 유전자들이 발견된 후에야 그의 연구가 맞았다는 것을 알았지요.매클린톡은 이
공로
로 1983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어요. 그의 발견 덕분에 유전학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답니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
공개했어요. 이 덕분에 인터넷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지요. 이러한
공로
로 그는 2017년 4월, 컴퓨터 과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튜링상’을 수상했답니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
생명을 구할 수 있었지요.호지킨은 이처럼 우리 몸에 중요한 물질의 구조를 밝혀낸
공로
로 1964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답니다.세계적인 과학자가 된 뒤에도 호지킨은 인슐린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했어요. 또, 남성 위주의 과학자 사회에서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차별에 대해 지적하고,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09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다. 미르자카니 교수는 기하학과 곡면의 역학을 다룬
공로
로 필즈상을 받았다. 그러나 3년이 채 지나지 않은 지난 7월 15일, 안타깝게도 유방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미르자카니 교수의 삶은 어땠으며 그의 업적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수학계에서 가장 큰 행사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08
아니라, 서로 다른 유전자가 발현되기 때문임을 밝혀냈습니다. 거든은 여기에 기여한
공로
로 2012년에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거든의 실험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핵 치환된 수정란이 발생에 성공할 확률이 고작 1.4%에 불과하다는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06
병원균을 인식하는 ‘지질다당류(LPS)수용체’를 발견했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밝힌
공로
로 201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대쪽같은 뚝심가와 한결같은 조력자“의사인 아버지의 영향 때문인지 몰라도 많은 과학분야 중에서 생명체를 이루는 분자가 어떻게 살아남는지 항상 궁금했어요. 특별히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06
MIT) 볼프강 케테를레도 나트륨 원자를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얻었다. 이
공로
로 세 사람은 200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초유체 상태인 액체 헬륨이 컵 안쪽의 벽을 타고 올라 바깥쪽으로 흘러 내리고 있다(노란 화살표).컵이 완전히 빌 때까지 이런 움직임이 계속된다.보스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
과학동아
l
201705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블랙번 교수는 텔로미어와 텔로머레이스의 역할을 밝힌
공로
를 인정받아, 존스홉킨스의대 캐럴 그라이더 교수, 하버드대 의대 잭 조스택 교수와 함께 200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영원할 것 같던 텔로미어 가설의 영광도 끝이 나다텔로미어 가설이 학계에서 엄청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