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역
축어역
의역
직장
일자리
d라이브러리
"
직역
"(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점차 그 공간을 팽창시키다 오늘날의 우주에 도달했다는 이론이죠. 빅뱅(Big Bang)을
직역
하면 ‘대폭발’이니, 우주의 팽창이 마치 폭죽이 터진 뒤 그 파편이 퍼지듯 이뤄진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지 연구원은 “제일 많이 착각하는 부분 중 하나는 은하가 우리가 공을 던졌을 때처럼 우리에게서 ... ...
"덕후가 쓴 책을 번역할 때 가장 신이 나요"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한다. 게다가 한창 말을 배우는 연령대의 책이라 영어식 말장난이 많이 나온다. “그대로
직역
하면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많죠. 한글로 적절히 풀어내는 일이 만만치 않아요. 편집자들과 함께 많이 고민합니다.” “덕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매력” 번역 작업은 보통 3권을 병행한다. ... ...
[이달의 식물사연] 검은 박쥐를 닮은 타카 칸트리에리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타카 칸트리에리(Tacca chantrieri) 다. 영어 이름은 ‘블랙 배트 플라워(black bat flower)’로,
직역
해 우리 식으로 이름 붙이자면 ‘검은박쥐꽃’이다. 이름대로 박쥐를 꼭 닮았다. 양쪽으로 넓게 펼쳐진 2장의 검은색 포엽(잎이 변형된 것으로 꽃을 둘러싼 부분)은 마치 박쥐가 날개를 활짝 펼치고 있는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나아져서 한 시험에서 고작(?) 60~70%가 낙제한다. 낙제율이 이렇게 높다 보니 ‘4.0 gewinnt(
직역
하면 ‘4.0이 이긴다’로 4.0이 최고라는 뜻이다)’를 외치는 학생이 많다. (나를 포함해) 4.0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 많다는 뜻이다. 그래서 시험이 끝나고 성적을 정정하는 날에는 4.0을 받기 위해 눈에 불을 ... ...
[독일유학일기] 노래방 마니아를 사로잡은 부엉이 축제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아헨공대에는 재밌는 전통도 있다. 언제부터 생겼는지 모르는 ‘Exma-Tor’ 미신이다.
직역
하면 ‘퇴학 게이트’인데, 아헨공대 정중앙에 있는 큰 문을 지나간 학생들은 모두 퇴학이나 정학을 당했다는 무서운 전설이다. 진실은 알 수 없지만, 학생들은 미신 때문에 넓은 문을 놔두고 샛길로 다닌다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엔드게임’에서 자신을 희생해 지구를 구하며 장렬한 최후를 맞는다. 아이언맨을
직역
하면 말 그대로 ‘철인(鐵人)’이다. 철의 강인함을 보여주기 위한 원작자의 의도가 담긴 이름이 아닐까. 필자는 여기에 인류 문명을 이끌어온 진정한 영웅, 철을 기념한다는 의미를 추가하고 싶다. 철의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수출 규제의 핵심 품목인 포토레지스트다. 포토레지스트는 우리말로 감광제라 불리며,
직역
하면 빛을 감지하는 물질이다. 액체 상태여서 감광액으로도 불린다. 포토레지스트를 반도체 기판 위에 얇게 바르고 굳히면 빛을 받아들일 준비가 끝난다. 이 위에 회로 모양을 본 뜬 판을 덧대고 빛을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뜻의 아모르파티 아모르파티는 라틴어 ‘사랑(AMOR)’과 ‘운명(FATI)’을 합친 말로
직역
하자면 ‘운명을 사랑하라’는 말입니다. ‘망치를 든 철학자’라는 별명의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사용하면서 유명해졌지요. 니체는 자신의 글 ‘즐거운 지식’에서 이 말을 쓰며 삶에 대한 태도를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번역할 때 한 단어를 다른 언어의 단어로
직역
할 수 있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 단어가 표현하는 의미는 여럿이고 언어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언어를 통해 그 사람들의 ‘세상을 보는 눈’을 알 수 있다고 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각 나라의 언어는 어떻게, 얼마나 다를까. 이런 차이는 어떻게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정수인 ‘소수(素數; 근본이 되는 수)’도 마찬가지다. 영어의 ‘Prime Number’(주요 수)를
직역
한 것이다. 모든 자연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소수는 자연수를 구성하는 주요 수라는 뜻이다. 박 교수는 “수학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건 언어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그 용어가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