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아"(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래과학(1) 잇따른 따돌림증언, 로봇면담하니 술술 동아사이언스 l2017.12.06
- 2016.7745197) 2. 진미영, 서경희, 이효신 ‘로봇활용 덕목프로그램이 정서ㆍ행동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2013년 제52권 제2호 297-319) *더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17년 5월호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우아영 기자)를 참조하세요 ...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수월하기 때문이다(Tangney et al., 2005). 따라서 실수나 잘못을 해도 이걸 나의 정체성과 자아가 걸린 이슈(self-issue)로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GIB 제공 물론 이해하는 것(understanding)과 봐주는 것(condoning)은 다르다. 정확한 현실인식은 자신의 약점이나 실수에 대해 ‘절대 일어날 수 없는 ...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2017.11.25
- ● 완벽해 보이려고 하지 않는다 또한 겸손한 사람들을 자신의 약점을 (위대해야 할 나의 자아에 어울리지 않는) 부끄러운 것이나 숨겨야할 무엇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실패시 “나의 약점이 드러났다!!”고 호들갑을 떨기보다 비교적 평온한 마음으로 이제 알았으니 다행이고 앞으로 보완해 나가면 ... ...
- [사이언스 팩트체크] 주변에 동성애자 있으면 동성애자 늘어날까?동아사이언스 l2017.09.25
- 있지만, 위에 설명했듯 ‘성적지향 자체는 병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자아이질적 성적지향에서도 동성애 자체를 문제 삼지는 않는다. 이성애자도 느낄 수 있는 장애기 때문이다. 더구나 동성애자에게 불편을 느끼게 하는 사회가 아니었다면 전혀 느끼지 않았을 불편을 전적으로 동성애 ... ...
- 똑똑한 동물일수록 더 보호받아야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8.29
- 핵심이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지적 능력이 연구된다. 무의식이 있는가, 자아 개념을 인식하는가, 없는 대상을 인식하는 능력이 있는가, 전략을 세울 수 있는가 등. 흔히 똑똑하다고 일컫는 가치들이다. 브룸 교수의 연구 중 하나. 돼지가 거울에 비친 상을 이해하는지를 실험하고 있다. 몇 ... ...
- 지구를 위해 아주 작은 일부터 시작해 보세요!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동아사이언스 l2017.08.25
- 행동 연구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님의 강연이 열렸어요. ‘자연: 다양한 자아실현의 장’이라는 주제로 열린 강연에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0여 명을 포함해 약 200명의 청중이 모였답니다. 제인 구달 박사님은 어떤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서 우리나라에 왔을까요? 한국에 온 제인 구달 ...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2017.07.30
- ‘혼자’ 양질의 시간을 갖는 것은 집단주의 사회의 개인에게는 특히나 더더욱 필요한 ‘자아찾기 겸 행복찾기’, 나아가 필요없는 쭉정이 같은 관계를 쳐내고 양질의 인간관계를 선별해나가기 위한 독립성 회복 활동이 아닐까? 일례로 나의 경우 주변 사람들이 다들 밥을 빨리 먹고 걸음도 매우 ...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두지는 않았다. 오히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직 헤아리지 못하는 미성숙함에서 비롯한 자아중심적인 행동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1930년대 소련의 심리학자 레프 비고츠키는 아이의 혼잣말을 전혀 다른 관점에서 해석했다. 비고츠키는 아이가 혼잣말을 통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고 ... ...
- 이해할 수 없는 셀카팝뉴스 l2017.06.17
- 있으니 말이다. 타인에게 이렇게 무감각하고 무심할 수 있을까. 사진은 무감각한 자아도취를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또는 비현실적으로 모든 면에 있어 완벽해야만 괜찮은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자아를 드높이려고만 했던 태도를 조금 버릴 때 다른 중요한 것들이 보이고 진정으로 나와 타인을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게 아닐까? ※ 참고문헌 Bai, Y., Maruskin, L. A., Chen, S., Gordon, A. M., Stellar, J. E., McNeil, G. D.,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