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아"(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2017.06.03
- 근거보다도 ‘내가’ 그렇게 믿는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의견의 문제가 ‘자아’의 이슈가 되어서 내 의견이 틀렸다는 건 곧 내가 틀렸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의견을 수정하는 것 역시 자존심 상하는 있을 수 없는 일처럼 생각되곤 한다. 하지만 사실 사람인 이상 세상 모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비자아’와 구별해 인식하는 것이 아마도 면역학의 기초일 것이다. - 맥팔레인 버닛 아토피, 천식, 비염. 이 질환들의 공통점을 찾으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금방 ‘알레르기(알러지)’를 떠올릴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 질환의 공통점은? 류머티스 관절염, 크론병, 제1형(소아) 당뇨병, ... ...
- [테마가 있는 영화] 아내가 사라졌다 ‘나를 찾아줘’2017.05.19
- 빈 껍데기뿐인 삶을 살아야만 했던 에이미가 느낀 괴리감은 오랜 시간에 걸쳐 에이미의 자아를 철저히 망가뜨렸다. 동시에 에이미는 세상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고 열광하는지 처절하게 깨달을 수 있었다. 바로 ‘드라마’처럼 성공한 삶을 사는 것. 그래서 “뭔가를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는 ... ...
- [생활의 시선 59] 뜻대로 안 되는 꿈속의 드라마2017.04.01
- 알다시피 모든 꿈은 꿈꾸는 이의 의지와 무관하게 진행될뿐더러, 꿈의 연출가는 현실의 자아가 아니라, 꿈꾸는 이의 ‘무의식’이니 말이다. 잠 속의 드라마, 꿈. 그 플롯을 꿈 바깥의 현실에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는 점에서 꿈이 미지의 미래와 같아서인지, 꿈은 예지(豫知), 즉 미래에 일어날 일을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의견이다. 정작 중요한 행동 수정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때로는 되려 자아를 방어하기 위해 ‘내가 잘못한 게 아니야!’라며 스스로를 방어하며 애꿎은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한 죄책감과 나 자신이 쓸모없는 인간인 것 같다는 부끄러움은 그대로 가지고 있기에는 너무 ... ...
- [카드뉴스]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동아사이언스 l2017.03.21
- 접촉하기 쉽습니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기표현의 기준이 올라가죠. 소셜 미디어의 자아도취자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자기만의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어른의 중2병을 고치는 첫걸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13년 10월호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 ... ...
- 똑똑해지는 인공지능… 단순 기계인가 별도 인격체인가동아사이언스 l2017.02.25
- ●인간 뛰어넘는 ‘초(超) AI’ 어떻게 막을까 AI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사람처럼 자아를 가지고 주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면 ‘강한 AI(strong AI)’으로, 그렇지 못한 AI는 ‘약한 AI(weak AI)’로 구분한다. 수많은 영화나 만화, 소설 속에 등장하는 AI는 대부분 ‘강한 AI’다. 영화 ... ...
- ‘사람이 아니무니다’ 캡차(CAPTCHA) 못 읽는 내가 문제?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한편, 과학자들은 언젠가는 인공지능이 지성, 이성, 감성 등 사람 고유의 능력은 물론, 자아와 자의식까지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영화 ‘어벤저스’ 속 울트론과 같은 ‘초지능(super AI)’가 현실 속에 등장하겠지요. 하지만 당분간은 캡차 기술처럼 계속 쫓고 쫓기는 관계가 유지될 겁니다. ... ...
- [테마가 있는 영화]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 마이클 무어 감독의 ‘다음 침공은 어디?’2017.02.04
- 통에 영화 속에 미국의 모습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인 스스로 통렬한 자아비판은 가능하다. 감독은 다른 나라에서 펼치고 있는 학생 중심 교육 정책과, 노동자와 여성, 재소자 인권에 대한 존중 문화를 보여주는 한편으로, 여전히 시위자들과 용의자들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미국의 ... ...
- 툭하면 눈물부터 납니다. 저 어떡해야 하나요?2017.01.21
- 정신건강 프로젝트- 마음의 소리를 들어라 지그문트 프로이트 (1921), 집단 심리학과 자아 분석(Messenpsychologie und Ich-Analyse) Cartwright, John (2008),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Cambridge, Mass.: MIT Press.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 병원 정신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