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든다. 먼저 복숭아 학명(Prunus persica)의 ‘persica’는 이 식물의 원산지가 페르시아,
오늘날
이란 지역임을 반영한 결과다. 로마 시대에 페르시아에서 복숭아를 들여온 유럽인들은 페르시아가 원산지라고 생각하고 이런 학명을 지었다. 그러나 이란 지역에는 야생 복숭아가 없고 훗날 알아보니 중국 ... ...
"특이점은 신화일 뿐" AI 전문가 장 가브리엘 가나시아 교수 한국에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그의 연구 목표를 “AI가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자연의 과학’의 일부가 될 뿐 아니라
오늘날
지식의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화의 과학’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소개한다. 가나시아 교수는 15권이 넘는 책을 쓰며 과학 저술가로도 활발히 일해 왔다. 철학적인 시각을 담아 AI를 비롯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새로운 도량형의 제정이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미터법이다. 미터법이 정립되고
오늘날
의 모습을 갖추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바스티유 감옥이 털린 이듬해인 1790년 프랑스 국민회의는 반주기(半週期)가 1초인 진자의 길이를 길이의 기본단위로 정했다. 천정에 줄을 고정시키고 줄의 ... ...
미국 땅을 처음 밟은 이주민은 시베리아에서 건너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인류는 약 2만 40000년 전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쪽은 아메리카 대륙으로 향했다. 이들이
오늘날
의 미국 원주민의 조상이라는 결론이다. 다른 한 쪽은 다시 시베리아로 향해 ‘고대 고(古)시베리아인’이라는 인류가 됐다. 이후 약 1만 년 전, 시베리아 북부에서는 ‘신 시베리아인’이라고 이름 붙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생체 촉매인 효소(단백질) 없이도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속속 발견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생명체의 핵심 대사 경로인 TCA 회로는 11가지 분자로 이뤄져 있다. 최근 과학자들은 피루베이트와 글라이옥실레이트 두 분자(왼쪽 아래 박스 안)와 철 이온이 들어있는 수용액을 초기 지구 조건에서 ... ...
빅데이터 지금보다 4배 빨리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실렸다. 관계형 데이터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다.
오늘날
그 규모가 커져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해 저장하거나 처리한다. 현재 관계형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술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아파치 스파크 SQL’다. 하지만 이 기술로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컴퓨터 ... ...
스페이스X 우주인터넷 ‘스타링크’ 발사 다시 미뤄져...다음주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고 판단해 스타링크를 시작했다. 머스크는 수요일 기자회견에서 “
오늘날
인터넷에 연결돼 있지 못한 사람이나, 연결은 돼 있더라도 매우 비싸게 이용해야 하는 사람, 인터넷 망이 안정적이지 못한 사람을 인터넷에 연결시켜줄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이런 전략을 쓰는 야생화를 ‘봄살이식물’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소로의 기록과
오늘날
기록을 비교한 결과 콩코드의 야생화 14종의 첫 잎이 나오는 시기가 평균 5.9일 빨라진 반면 그 위에 있는 나무 15종은 평균 12.9일 빨라졌다. 철새에 비하면 야생화도 꽤 대응을 잘 한 셈인데 나무가 한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부실한 가난한 나라에서는 이 세 가지를 합친 만큼의 실명 질환은 백내장이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실명인 사람은 3900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이 가운데 절반이 백내장 때문이다. 도대체 실명 질환은 왜 생기는 걸까. 최근 백내장의 원인을 밝힌 논문이 나온 걸 계기로 백내장과 녹내장에 대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써서 장치를 만들면 열전효과가 더 커진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용화의 길이 열렸고
오늘날
몇몇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냉매 시스템에 비해 비싸고 효율이 낮아 널리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고체 냉각 시스템으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게 칼로릭 재료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