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해서 고탄수화물 식단이 고지방 식단보다 더 좋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오늘날
당뇨 같은 대사질환이 만연한 건 식단보다는 생활습관이 더 큰 요인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만 봐도 예전 사람들은 지금보다 밥을 훨씬 많이 먹었다. 당시 사진을 보면 밥공기가 지금보다 훨씬 더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대체하는 속도가 리튬이온배터리의 성장속도를 좌우할 것이다.
오늘날
전기차 혁명을 이끌고 있는 테슬라는 2016년 야심작 ‘모델3’를 공개했다. 3만 달러 대 보급형으로 사전 예약만 45만 건이 넘었고 지난해 소량 생산되기 시작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고 있다.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대한 기여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상대성이론이 아니었습니다. 이 이론은
오늘날
디지털 카메라의 기반이 되었고, 물론 실험적으로 입증하기 비교적 나았습니다. 조금 더 기다리면 호킹 박사의 주장을 입증할 실험적 증거들을 얻을 수 있을까요? 그럴 지도 모릅니다. 그러면 사후 수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상대론을 결합해 블랙홀도 전자기파(빛)를 방출한다는 놀라운 결론을 얻었다.
오늘날
호킹복사(Hawking radiation)으로 불리는 이 현상의 발견으로 호킹의 시대가 시작됐다. 그런데 블랙홀 복사가 일어나면 에너지가 빠져나가 결국은 블랙홀이 증발돼 사라진다. 이때 블랙홀의 정보도 사라진다면 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특정한 색이 느껴진다고도 말했는데 자신은 그렇지 못하다고 얘기하고 있다.
오늘날
심리학 용어로 두 사람은 공감각(synesthesia) 소유자들이다. 공감각이란 한 감각 자극이 그 감각의 지각뿐 아니라 다른 감각의 지각까지 불러일으키는 현상이다. 두 사람 모두 ‘철자-색 공감각’(이 경우 시각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작고 시큼한 순종 만다린이 포멜로와 만나 크기가 커지고 달콤새콤한 과일이 된 것이다.
오늘날
과수로 성공한 만다린 품종 대다수는 순종 만다린과 포멜로의 잡종이 그 뒤 여러 차례 만다린과 교배해 나온 것으로 여전히 포멜로의 영향력이 남아 있다. 스위트오렌지와 그레이프프루트에 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입맛에 맞는 과학자를 찾은 것일 뿐 존스와 오펜하이머는
오늘날
의 관점에서 당시를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 즉 당시는 논문에 누가 돈을 댔는지를 언급하지 않는 게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디언’ 기사에서 희생양으로 그려지고 있는 유드킨 역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염료이지만 청바지 수요를 맞추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므로
오늘날
대부분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이다. 즉 석유에서 얻는 벤젠을 출발물질로 해서 유독한 화합물인 아닐린을 거쳐 인독실(indoxyl)이 만들어지고 이를 산화해 인디고가 나온다. 인디고는 물에 녹지 않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프랑켄슈타인을 상상해 본 그림이 1월 둘째 주 학술지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오늘날
SF 소설의 선구가 된 괴기소설 프랑켄슈타인이 나온 건 1818년이다. 인간과 똑같은 능력을 갖춘 기괴한 형상의 거대 인조 인간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예술과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크게 영향을 미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늑대를 거의 절멸시켰다. 이처럼 각자 서로를 이용해 동족을 배반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사람과 개가 이처럼 서로를 예외적인 존재로 여기며(채식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도 대다수는 개고기를 안 먹는다!) 살아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