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스테로이드 약물은 효과에 상응하는 엄청난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이 곧 밝혀졌기 때문에
오늘날
의사들은 불가피한 경우에만 주의해서 쓰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증상이 심각할 경우 스테로이드제제와 면역억제제를 번갈아 쓰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근본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기고한 부고에서 “생어 같은 과학자는 (보고서와 논문을 끊임없이 써야하는)
오늘날
과학계 풍토에서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과학자들이 호기심에 이끌려 살았던 좋은 시절은 결코 다시 오지 못할 것이라는 예감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특히 조직의 위에 있는 사람이 이런 성향이 강하면 아래 있는 사람들이 피곤해진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혼란이 이런 독선에서 비롯된다는 각성이 일면서 ‘나와 다름’을 인정하는 여유를 갖자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TV 뉴스에 나온 얘기가 꽤 흥미로웠다. 페이스북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옷을 껴입고 자도 소용없다”는 기록을 남겼다. 이에 비하면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 대다수의 숙면환경은 상당히 쾌적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한여름 몇 주 동안 열대야에 시달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선풍기는 있지 않은가. 겨울밤 추위로 발이 시려 잠들지 못하는 경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정도를 비교한 결과 이들이 갈라진 시점이 대략 25년 전이나 26억 년 전으로 추정했다. 즉
오늘날
시아노박테리아의 공통조상은 광합성을 하지 않았고 세 그룹이 갈라진 뒤 옥시포토박테리아의 조상이 어느 시점에서 광합성 능력을 얻었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박테리아 사이의 유전자수평이동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이래 ‘불쏘시개 농업(fire stick farming)’이라고 불릴 정도로 불을 즐겨 이용했다. 그 결과
오늘날
호주의 풍경이 생겨났고 이런 환경에 적합한 캥거루나 굴드왕도마뱀 같은 동물들이 번성하게 됐다. 물론 이 녀석들은 원주민의 사냥감이다. 실제 한 원주민 노인은 “캥거루를 위해 불을 놓는다”고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호모가 아래쪽에는 호모 사피엔스가 살고 있었다는 말이다. 이들이 서로 교류했는지 또
오늘날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증이 더해간다. 지금까지 고인류학 분야에서 아프리카에 쏟아 부은 인력과 비용, 시간에 비하면 아시아 발굴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앞으로 또 얼마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자라서 영웅이 된 아킬레스는 결국 트로이 전쟁에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전사한다.
오늘날
누군가(또는 무언가)의 치명적인 약점을 얘기할 때 ‘아킬레스건’이라는 은유가 진부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물론 번역어일 텐데 정작 영어를 보면 ‘Achilles tendon’이 아니라 ‘Achilles’ heel’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것이다. 그러나 관심이 있으면 다른 종의 얼굴도 식별할 수 있다. 드 발은 책 곳곳에서
오늘날
동물 인지 연구의 확립에 일본 영장류학자들이 큰 기여를 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일본 영장류학자들은 서구인 중심의 학계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놀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중심으로 튜링의 삶을 그린 영화다. 그런데 사실 이미테이션 게임은 에니그마가 아니라
오늘날
‘튜링 테스트(Turing test)로 불리는, 튜링이 1950년 발표한 논문에서 사용한 용어다. ‘기계도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다분히 철학적인 질문에 대해 튜링은 한 발 벗어나(‘생각’에 대한 정의조차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