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커피와 우유’가 혼합된 음료라는 뜻이다... 카페라테는 카푸치노, 에스프레소와 함께
오늘날
국제적으로 가장 사랑 받는 커피 음료이다. - 로잔느 산토스 & 다르시 리마, ‘커피가 죄가 되지 않는 101가지 이유’에서 황금개띠라는 2018년 무술년(戊戌年) 새해가 밝았다. 아침 뉴스를 보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천 년 동안 인류가 생리적 한계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테스트하기는 어려웠다”며 “
오늘날
우리는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직시해 이미 도달한 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스포츠 활성화 등의 노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노세보 효과). 과거 설탕이 귀했을 때 유럽에서는 설탕이 약물로 처방됐다고 하는데,
오늘날
은 이해가 안 되지만 당시는 정말 약효(플라시보 효과)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런 효과는 화장품에서도 두드러진다. 20여 년 전 필자가 한 화장품 회사 연구소에서 일할 때 화장품 가격이 원가와 무관하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신성을 관측해 기록한 한 줄 문구가 어떻게 최첨단 관측 장비와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오늘날
천문학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었을까. 먼저 객성과 신성, 초신성(supernova)의 개념을 정리해 보자. 객성이란 말은 사마천의 ‘사기’에 처음 나오는데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별’을 뜻한다. 사용례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명백해지고 있는데 생체이물 대사도 예외는 아니라는 말이다. 장내미생물 입장에서도
오늘날
인류가 섭취하는 다양한 생체이물 가운데 다수는 낯선 분자들이다. 실제 우리 몸 안에서는 소화에서처럼 생체이물을 대사하는데도 인체의 시스템과 장내미생물의 시스템이 이중으로 작동하고 있다.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살던 시절인 6600만 년 전 화석이 발견된 초기 영장류인 퍼가토리어스(Pugatorius)는
오늘날
영장류보다 오히려 다람쥐나 쥐가 연상되는 데 발목뼈를 보면 나무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설치류와 영장류의 공통조상도 나무에서 살았고 그 결과 손놀림 회로가 진화한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활동과 비슷한 운동을 꾸준히 해야 몸과 뇌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오늘날
에도 수렵채취인으로 살고 있는 탄자니아의 하드자 사람들. 뒷모습만 봐도 대사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과는 거리가 멀 것 같다. 실제 이들이 심혈관계질환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 Brian Woo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과학자들은 물질과 반물질 소멸의 비대칭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오늘날
우주의 비대칭성을 제대로 설명하지는 못한다. 아무튼 필자에게 반물질은 허구나 과거의 존재로 여겨졌다. 제1형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생긴 니켈56은 불안정해 코발트56과 철56으로 두 단계에 걸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잡혀있다. 그 뒤 턱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사랑니가 위치할 공간이 부족해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고 있다. - 네이처 제공 그런데 이번에 추가 발굴의 결과가 발표되면서 연대가 거의 두 배나 더 오래됐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와 프랑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더 커졌다. 연초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르 코르뷔지에 전’은 또 느낌이 달랐다.
오늘날
도시의 콘크리트 아파트 숲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건물을 창안한 스위스의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는 철근콘크리트 공법을 자유자재로 구사한 천재이지만 전시를 보면서 21세기가 지향할 바는 아니라는 인상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