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철학자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 일화를 인용하고 있다. 이 말에 공감은 하면서도
오늘날
과학이 인간의 폭력성의 기원은 설명할 수 있을지언정 이를 줄일 해결책은 2300년 전 살았던 맹자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만약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고 하는 모습을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수십 차례나 서로 독립적인 ‘수렴진화’가 일어났다는 말이다.
오늘날
C4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전체 식물 종수의 5%에 불과하지만 이들이 광합성으로 고정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30%에 이른다. C3 식물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농도가 높고 기공을 열어도 수분 손실이 적은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했다. 또 클로스트리디움속(屬)의 다른 종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넓히기도 했다.
오늘날
대사공학 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곳 가운데 하나가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부 이상엽 교수팀으로 특히 바이오부탄올이 두드러진다. 이 교수팀과 GS칼텍스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학술지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상황이 더 악화돼 농도가 높아진다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세계의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은 3억t에 이르고 매년 2000만t씩 늘고 있다고 한다. 플라스틱 생산량의 관점에서 한 줌도 안 되는, 화장품이나 치약에 들어가는 ‘미세플라스틱 완제품(microbead)’을 못쓰게 한다고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대사질환의 주범은 탄수화물이 아니라 과잉의 칼로리임을 잘 보여주는 데이터다. 아무튼
오늘날
서구식단을 지향하는 경향은 지구촌 공통의 현상으로 소득증가에 따라 식단이 수렴된다. 이런 식으로 계속 갈 경우 2050년 식단으로 인한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은 2009년에 비해 32%가 늘게 된다(평균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하는 상아 때문에 지난 100년 동안 코끼리 개체수가 95% 이상 줄었다.
오늘날
도 매년 코끼리 3만 마리가 밀렵으로 희생되는 걸로 추정된다. 1900년 무렵 탄자니아에서 찍은 사진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얼핏 그럴듯해 보이기도 한다. 어차피 코끼리가 죽으면 상아는 남기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실험적으로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 네이처 제공 ● 블랙홀은 검지 않다 1974년 논문은
오늘날
‘호킹복사(Hawking radiation)’라고 알려진 현상을 기술하면서 그 결과로 블랙홀 폭발(나중에는 ‘증발’이라고 표현이 널리 쓰인다)로 이어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전까지 블랙홀은 말 그대로 검은 구멍, 즉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점선)와 이후 하류(위쪽 파란색 점선)가 크게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파란색 실선은
오늘날
물줄기이다.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site)이 하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학설이 한층 힘을 얻게 됐다. - 사이언스 제공 ● 지진으로 산사태 나 댐 만들어져 학술지 ‘사이언스’ 8월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메치니코프의 설명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이런 와중에 독일의 과학자들은
오늘날
적응면역으로 불리는 면역현상을 발견했고 이를 바탕으로 메치니코프의 학설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사실 파스퇴르 역시 적응면역에 속하는 업적인 광견병백신을 개발했지만 당시는 그 메커니즘을 몰랐기 때문에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모든 걸 설명하는 멘델의 방식이 학생들의 사고를 편협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미디어가 흔히 쓰는 ‘노화 유전자’ ‘키 유전자’ 같은 표현이 바로 멘델 유전학을 배운 부작용이라는 말이다. 21세기 들어 후성유전학,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 자체는 변화가 없어도 외부요인으로 유전자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