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큰 도로 주변에는 배기가스나 타이어에서 나온 미세먼지가 꽤 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오늘날
도시인들 가운데 다수가 고농도 미세먼지에 상시 노출돼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서 호흡기 질환도 늘고 있다. 대기가 안 좋기로 유명한 중국의 경우 매년 100만 명이 호흡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더해 같은 제목의 책(앞의 부정관사 ‘a’만 정관사 ‘the’로 바뀌었다)으로 출판했는데,
오늘날
정보이론의 바이블로 여겨진다. 섀넌은 이 책에서 “정보는 불확실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며 “정보는 의외성을 내포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천재 수학자 클로드 섀넌은 32세 때인 1948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제공 ● 수면장애, 신경퇴행성질환의 결과에서 원인으로 대사질환과 면역질환과 더불어
오늘날
환자수가 급증하는 또 다른 질병이 알츠하이머병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이다. 물론 고령화로 수명이 늘어난 게 주된 이유겠지만 그 배경에는 역시 생체시계 교란이 있다. 신경퇴행성질환 환자들이 흔히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않는, 눈알이 작은 개체가 선호됐고 이런 과정이 쌓이면서 결국 눈이 완전히 퇴화한
오늘날
의 동굴물고기가 나타났다는 것. 연구자들은 강물에 비해 이온이 턱없이 부족한 동굴의 물이라는 환경 스트레스가 샤프론이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결과임을 입증했다. 린드퀴스트는 광우병 같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생겨나고 소멸하는 공간이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물질이 더 많은 것 같기 때문이다. 즉
오늘날
우주의 모습이 존재하려면 물질과 반물질 사이의 비대칭이 존재해야 한다는 말이다. 1964년 우주가 물질로 이뤄져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실험에 최초로 성공한 미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크로닌(James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정작 그는 다양한 색상의 형광단백질을 만든 업적으로 2008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오늘날
형광단백질 없는 생명과학 실험은 상상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보편화됐다. 이런 놀라운 성과를 낸 첸 교수가 지난 8월 24일 자택 부근에서 자전거를 타던 도중 뇌졸중으로 갑자기 사망했다. 중국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묻어 얼룩덜룩한 실험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전형적인 화학자의 이미지다. 그러나
오늘날
화학자 가운데 상당수는 컴퓨터 모니터를 바라보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다리는 게 일이다. 1960년대 ‘밀도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을 만들어 계산화학이라고 불리는 분야를 개척한 월터 콘(Walter Kohn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맴돌았고 섀플리는 너그럽게 그를 대하며 함께 연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내쉬가
오늘날
‘내쉬의 균형 정리’로 불리는 논문을 비롯해 논문 세 편을 단독으로 내면서(그 가운데 하나는 함께 토론하며 연구하던 주제였다) 둘 사이는 멀어졌다. 졸업 뒤 랜드코퍼레이션으로 복직한 섀플리는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때문”이라고 쓰고 있다. ‘수명 연장’은 무척 재미있지만 100년도 더 된 책이라
오늘날
과학지식으로 보면 틀린 내용이 꽤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을 읽으면서도 그런 경우로 생각하며 넘어갔다. 그런데 ‘네이처’의 특집에 실린 여러 리뷰논문들을 보니 곳곳에서 면역세포의 오작동이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적어 게놈 다양성이 떨어져 멸종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거기에 사람까지 가세하다보니
오늘날
대형 고양잇과 동물은 다들 멸종위기에 몰려있는 신세다. 그렇다면 왜 고양잇과 동물들은 곰처럼 잡식성을 유지하지 않고 육식에 올인하게 된 걸까. 논문은 이에 대해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다’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