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펜스 부통령 "美, 5년 내로 달에 우주인 보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데 성공하는 등 성과를 보여주자 미국이 반격에 나섰다는 것이다. 펜스 부통령은 “
오늘날
우리는 마치 1960년대처럼 우주 경쟁 시대에 살고 있다”며 냉전 시절 우주개발 경쟁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행정부의 압박에 NASA도 성명서를 내고 응답했다. 짐 브라이드스틴 NASA 국장은 27일 성명서를 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iinumae(직계조상을 의미)와 흰땃딸기(F. nipponica) 사이에서 4배체 딸기가 나왔다. 아쉽게도
오늘날
이 4배체 딸기의 직계후손은 없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찾지 못했다. 참고로 흰땃딸기는 한반도와 일본에 분포하는 야생 딸기다. 그 뒤 이 4배체 딸기가 유라시아에 자생하는 2배체 딸기인 F. viridis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끼워 넣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주기율표가 18개 열에서 32개 열로 늘어난다. 사실
오늘날
주기율표는 32개 열로 이뤄져 있는데, 한 페이지에 이를 그대로 쓰면 글자가 너무 작아진다. 따라서 불과 두 줄인 f 블록 14개 열을 아래로 뺀 것이다. 다만 ‘미결정 주기율표’는 3족의 칸을 비워뒀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사이언스’에 ‘침팬지: 자기인식’이라는 다소 철학적인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늘날
동물인지과학 분야의 고전으로 꼽히는 이 논문에서 갤럽은 침팬지가 거울 속에 비친 자기 모습을 자신이라고 인식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처음 거울을 봤을 때는 깜짝 놀라 난리를 치던 침팬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감소증)’란 신조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학계에서 즉각 받아들여졌고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다. 근감소증은 낙상 같은 보행 관련 사고뿐 아니라 전체 유병률 및 사망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나이가 듦에 따라 근육량이 줄어드는 속도를 늦추는 게 건강관리의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처음 내놨다. 각 원소의 질량(원자량)과 화학적 특성에 기초해 정리한 이 표는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기율표의 기초가 됐다. 지난달 31일자 사이언스는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150주년을 기념해 원소의 발견 과정을 담은 주기율표의 변천사를 특집으로 다뤘다. 마이클 고딘 미국 프린스턴대 ... ...
[표지로 읽는 과학]150살 생일 맞은 주기율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2.02
원소를 나열하고 같은 열에 유사한 특성을 가진 원소를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오늘날
주기율표의 기초를 마련했다. 과학자들은 주기율표의 빈자리를 채워가며 과학사의 한 장면씩을 메웠다. 멘델레예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유엔은 2019년을 ‘국제 주기율표의 해’로 정했다. 네이처는 유네스코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수준까지는 아니겠지만 홍역이 꽤 퍼질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의료인프라가 잘 갖춰진
오늘날
설사 홍역에 걸리더라도 독감처럼 한 일주일 고생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고 사실 환자 대다수는 그렇다. 그러나 운이 없으면 독감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듯이 홍역 역시 위험성이 만만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대다수가 정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의 반려동물이 되면서 몸을 쓸 일이 없어졌다. 그 결과
오늘날
정적인 생활을 하게 된 말과 개의 건강을 유지하려면 사람과 마찬가지로 따로 운동을 시켜줘야 한다. 지난 2017년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개를 키우는 사람이 그렇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무난히 박사학위를 받고 선망하던 거대 제약회사 머크에 입사해 열심히 일한 결과
오늘날
‘산업미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다. 우드러프는 2017년 100세에 타계했다. 반면 우드러프가 박사학위를 받을 무렵인 1942년 왁스먼의 실험실에 들어온 알베르트 샤츠(Albert Schatz)의 인생은 달랐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