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작물
수확물
수확
뉴스
"
작물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③] 美 대선 D-1, 과학자들도 잠 못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08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화당의 입장은 GMO가 이미 안전하고 건강한
작물
일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만큼 GMO 표기 의무화에는 반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명공학 분야의 뜨거운 감자는 크리스퍼와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입니다. 미 정부는 법적으로 어떤 종류의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수 있게 된 셈”이라며 “지뢰 위험지역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농업 분야에서
작물
수확량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지뢰 감지하는 시금치' 동영상으로 ... ...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6.11.02
활발한 성격을 감당하지 못한 사람들이 라쿤을 함부로 방생했고, 야생화된 라쿤은
작물
을 헤집고 역사적인 목조 사원을 갉아 먹었다. 2012년 스페인에서는 털을 얻을 목적으로 수입한 라쿤이 야생화되면서 광견병 등 전염병을 퍼뜨리기도 했다 ... ...
핵전쟁에 대비한 주택 ‘화제’
2016.10.29
핵전쟁이 터져도 안전한 집이라는 주장이다. 집은 지하 10층 정도다. 수영장과 수족관과
작물
재배 시설도 있다. 생존에 꼭 필요한 시설과 공간들이 꼼꼼하게 배치되어 있다. 차고와 우주선 발사대도 준비된 것이 이채롭다. 설계자는 차를 무척이나 사랑하는 모양이다. 그리고 우주선은 도저히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교정 기술의 경우, 최신 기술인 크리스퍼(CRISPR)에 대해 알려주고, 이 기술을 유전자 치료,
작물
의 개량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점을 설명하고, 주의해야 할 문제로 인간 배아의 유전자 교정이 가능해 윤리 문제가 일 수 있다는 점, 또 유전자가 조작 식품(GMO)의 허용 문제 등을 덧붙여 해설하는 ... ...
사막에서도 농사지을 수 있는 ‘슈퍼 고구마’ 나온다
2016.09.28
발현을 높여주자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10배 이상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 결과 기존
작물
보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훨씬 잘 자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병충해나 고온 등의 재해를 이겨낼 수 있는 식물을 꾸준히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곽 ... ...
‘과학적 사실과 사후검증‘의 관점에서 본 천안함 논쟁
2016.09.26
대응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는 정책적 문제에서 과학적 문제로 옮아갔다. 유전자변형
작물
(GMO)을 둘러싼 더 큰 틀의 다양한 논쟁에서도 여러 경우에 사회적인 문화나 정책의 문제가 안전성에 관한 과학적 실험의 문제에 가려지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천안함 침몰 원인 논쟁에서 과학/기술은 ... ...
노벨상 수상자들의 편지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09.04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로버트 기아 문제는 전세계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다. GMO
작물
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아프리카 우간다의 바나나 문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바나나가 과일이 아니라 식량이다. 우간다는 아프리카에서도 바나나 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199 ... ...
中에서 제일 잘 나가는 ‘스타 과학자’ 10인
2016.06.24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유전자 가위의 최신 버전인 ‘크리스퍼 Cas9’을 이용해 쌀과 밀 등
작물
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주목받았다. 푸차오메이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및고인류연구소 고대DNA연구실장은 고인류의 게놈을 분석해 유럽 현생 인류의 기원을 밝혔으며 현재는 아시아 ... ...
카푸치노 양, 삼겹살 2배 돼지…유전자 가위가 만든 신(新) 동물열전
2016.06.17
알레르기 없는 달걀 개발에도 나섰다. 하지만 이들 생물이 상용화되려면 유전자변형
작물
(GMO) 규제를 극복해야 한다. 김 단장은 “미국에선 유전자 가위로 만든 생물이 GMO가 아니라는 유권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며 “유전자 가위 기술은 유전자변형(GM)과 달리 외부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기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