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시골
기름
지구
지대
유지방
굳기름
d라이브러리
"
지방
"(으)로 총 2,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풀리지 않는 비밀, 프랭클린의 탐험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해군 잠수부들과 해양 고고학자들이 170년 전 캐나다 북극
지방
에서 난파된 영국 군함 에레버스(Erebus)호를 조사할 예정이다. 2014년 9월 잔해가 발견된 에레버스호와 또 다른 군함인 테러(Terror)호는 1845년 존 프랭클린 경의 전설적인 북서 항로 탐험 중 사라졌다.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선이다. 미국을 남북으로 가르는 이 선을 기준으로 서쪽에 있는 콜로라도 분지와 인근
지방
은 매해 가뭄으로 고통받고 있다. 반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미시시피 강 주변 지역은 여름이면 홍수로 피해를 입는다. 미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시시피 강과 콜로라도 강을 잇는 파이프라인을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극대화하기 위해 기상청은 매년 ‘봄 꽃지도’를 만들어 시민에 공개한다. 전국
지방
자치단체는 예보에 맞춰 다채로운 꽃 축제를 마련한다. 2013년 경남 진해 벚꽃은 3월 21일 개화했다. 당초 기상청 예보는 3월 28일이었다.결국 군항제는 벚꽃이 만개한 4월 1일에 열렸다. 봄 꽃 축제 망친 개화 시기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과정에서 얻은 부산물이다. 인간의 몸에는 콜레스테롤 대사와 관련된 세 종류의 아포
지방
단백질 E(Apo E)가 있다. 다른 포유류는 Apo E4라는 한 종류의 형태만 발견되는 데 반해, 인간은 예외적으로 Apo E3와 E2의 형태도 같이 관찰된다. 이 단백질은 E4→ E3→ E2의 순서로 진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마음속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제대로 추측할 수 있어야 거짓말이 가능하다. 이재석 서울
지방
경찰청 거짓말탐지실 검사관은 사기꾼들이말로 사람 마음을 가장 잘 읽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사기꾼은 사람 표정을 기가 막히게 알아봅니다.” 동석한 유지현 검사관이 맞장구를 쳤다. “사기꾼들은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주로 남부
지방
에 살면서 소나무와 해송을 죽인다. 북방수염하늘소는 주로 중북부
지방
에 분포하고 잣나무에 피해를 준다. 기타 다른 하늘소류도 고사목에 살지만, 소나무재선충병을 전파하지는 않는다.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는 6~9월 사이에 죽은 나무에 알을 낳는다. 애벌레는 나무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하루 강수량 80mm가 넘는 호우발생 일수는 60% 이상 증가한다. 특히 수도권•강원 영동
지방
은 호우가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거대 홍수의 강수량은 20% 증가해 현재 지어진 제방의 홍수방어능력은 절반으로 줄어든다.무서운 물의 역습에 가만히 앉아서 당할 수밖에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있다.골목길 열풍은 서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골목길이 뜨면서 대구와 인천 같은
지방
도시에 대한 언급량도 동시에 늘었다. 대구의 ‘김광석 거리’ 인천 신포동 일대 골목상권인 ‘각국거리’ 등이 대표적인 예다. 골목길을 검색한 사람들은 이곳들을 ‘눈길을 끌다’‘설레다’ ‘굿이다 ... ...
땅콩 VS 마카다미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마카다미아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소금을 살짝 뿌려 날 것으로 먹는 것이라고 해요.
지방
함유량이 높아 고소하면서도 느끼하지 않고 담백한 맛이 난답니다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양털이 없었다면 인류는 추위로 멸종했을지도 몰라요. 양들은 진화 결과, 몸에서 남는
지방
산을 처리하며 털에 기름기를 품게 됐어요. 그래서 털이 보들보들하지요. 또 양털은 탄성과 복원력이 굉장히 뛰어나요. 잡아늘이면 3분의 1 이상 늘어났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지요. 또 3만 번 이상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