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공격을 당하면 스스로 자기 배를 터뜨려 분비샘에 들어 있던 끈끈한 독물을 적에게
뒤
집어 씌우고 자기는 죽고 만다. 아비 없는 아들들꿀벌에 쏘인 경험이 있는 이들은 혹시 알지 모르지만 꿀벌은 자기 집을 위협하는 다른 동물에게 침을 쏠 때 독소만 주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개는 독소를 만드는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생명체의 두뇌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구별없이
뒤
섞여 있다. 따라서 인공생명의 경우에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돼야 한다.그러나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생명체의 특징, 특히 종족번식을 하드웨어로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것이 컴퓨터 한 대를 다루는 것처럼 쉽게 느껴진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의 행위가 발각된
뒤
"그냥 호기심으로 해봤다"는 어처구니없는 말이 전부다.지난 87년초부터 88년 7월까지 독일 하노버의 마르쿠스, 헤스 등 5명의 해커가 대학 인터넷망을 통해 대서양에 떠있는 인공위성을 경유해 국제 범죄를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입체그림이 보이지 않으면 조그만 책을 준비해 양쪽 그림 사이에 수직으로 세운
뒤
눈 운동을 하면 쉽게 입체그림을 볼 수 있다.▶교차시의 방법①눈을 사시 상태로 한다. 그래도 시선을 유지한 후 앞쪽에 그림을 놓고 초점을 맞추면 입체감이 느껴진다.②그림과 자신의 눈 중간쯤에 원을 만든다. 그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상해도 약을 먹는 습관이 있었다. 재채기가 나면 당장 감기약을 사먹었고, 술먹고 난
뒤
머리가 아프면 두통약, 술깨는 약, 간장약을 먹어야 직성이 풀렸다.오동열과장은 "어떤 약물에는 몇초간 멍하니 '살짝 뜨는'(high) 기분을 느끼게 하는 성분이 있다"고 말하면서 "이를 장기간 복용하면 알코올로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점 위치가 변화될 것이다. 푸코는 점의 이동거리와 회전거울의 회전수 등을 측정한
뒤
일련의 계산 과정을 거쳐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물 속에서의 빛 속도를 측정할 때도 같은 원리가 이용됐다. 회전거울과 멀리 있는 거울 사이에 긴 수조를 설치하면 됐기 때문이었다. 실험 결과 공기 속의 ... ...
2. 홀로그래피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80년대 말 홀로그램이 처음 소개될 때만해도 사람들은 홀로그램에 대단한 환상을 갖고 있었다. 세월이 지난 지금도 필자가 가끔씩 받 ... 물위의 기름막에 줄무늬나 무지개 색깔이 보이는 것은 바로 얇은 막의 앞과
뒤
에서 반사된 빛이 만나 간섭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곳마다 모조리 타임아웃을 실행해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을 빠져나가면 10초 쯤
뒤
에 자신에 관한 모든 자료를 지우게 하는 프로그램을 깔아놓는 것입니다. 물론 그 프로그램마저 자동으로 분해돼 흔적이 없어져야 하구요. 하지만 이것도 요즘은 힘들어졌습니다. 다들 타임아웃을 막기 위해서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회사의 칼 드저라시는 코르티손을 합성했으나 상업적 개발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5개월
뒤
인 1951년 6월 경구 프로게스틴(노르에틴드론)의 멕시코 특허를 출원했다.드저라시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라디올의 구조를 모두 가진 물질을 합성할 의도였다'고 말했다. 이 목표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837년 미국의 페이지가 전류에 음성을 전하는 현재의 전화방식을 알아낸 지 불과 6년
뒤
인 1843년 영국의 전기기사 알렉산더 베인이 현재의 팩스와 유사한 화학식 전신기의 원리를 발견했다.베인이 만든 화학식 전신기는 구멍을 뚫은 종이조각으로 시간당 4백단어를 취급할 수 있는 획기적인 ... ...
이전
1110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