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다리에 힘을 빼고 높이 올린 다음, 툭 떨어뜨려 양다리를 맞부쳐본다.3. 허리를 구부린 후 뒤에서 등의 높낮이를 비교해본다.목운동1. 턱을 내려 안으로 넣고, 머리를 위로 올려 목을 수직으로 한 상태로 힘을 주면서 근육을 수축시킨다.2. 손으로 머리의 전후좌우를 밀고 머리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 ...
- 3. 훈련 : 유아·아동기 부모가 자녀에게 실천하는 우뇌 개발법과학동아 l1996년 05호
- 있는지를 찾기, 숲 그림에 몇마리의 원숭이가 숨어 있는지 찾기, 동물의 일부분만을 보인 뒤 전체모습을 상상하거나 이름을 알아맞추기, 혼동하기 쉬운 형태들 안에서 정확한 모양 상상하기 등은 패턴 인식을 위한 좋은 활동이다.클래식과 대중가요의 차이가정에서 자녀와 즐기면서 패턴 인식력을 ...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과학동아 l1996년 05호
- 그리고 아주 기쁘거나 슬플때도 마찬가지다. 먼 길을 급히 걸어온 사람은 잠시 쉬고 난 뒤 치료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체질적으로 몸이 비정상인 사람도 수지침 자극을 피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혈압이 항상 낮거나 높은, 혹은 불안정한 사람, 신체나 정신이 너무 허약한 사람, 맥박수가 비정상적으로 ... ...
-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VS 익스플로러과학동아 l1996년 05호
- 정도로 매우 초보적인 기능만 제공해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데는 실패했다.그러나 두달 뒤에 발표한 2.0은 상황을 바꾸어 놓았다. 윈도95와 연계한 독특한 확장성과 함께 일부 기능에서는 오히려 넷스케이프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넷스케이프 사용자들을 야금야금 빼앗기 시작한 ...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과학동아 l1996년 05호
- 4~6시간 소요. 사진은 파리가 끈끈이 주걱에게 잡힌 순간(왼쪽)과 5시간이 지난 뒤의 모습(오른쪽).생육지식충식물은 현재 전세계에 7과 16속 5백여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2과 7종이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끈끈이주걱은 끈끈이귀개과에 속하며, 한여름에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산기슭 ...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과학동아 l1996년 05호
- 수 있다.범퍼나 차의 앞모양 각도 등은 사용자가 어떻게 바꾸어볼수 없지만 에어댐(차 앞뒤의 범퍼 부분에 장착,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해주는 부품)과 스포일러(차꽁지 날개)등 에어로 파트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차의 공기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에어댐과 스포일러는 아예 장착 출고될 경우도 ...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몸에 피부병이 있어 남들보다 더 돋보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결혼은 그 뒤의 일이었다. 그래서 항상 무리한 계획을 세웠으며, 결과는 늘 실패였다.이민수 교수는 "결혼은 고립에서 친교로 바뀌는 계기이며 친교는 안정감을 준다" 고 전제하고 "요즘들어 독신을 허용하는 분위기가 ... ...
- 내 손으로 만드는 홈소프트웨어, 마우스만 누르면 OK!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만든 'StoryBookWeaver' (이야기책 조판하기)의 데모판이다.이 프로그램은 한컴 네트에 접속한 뒤19번 홈소프트웨어 공모전을 선택한 후 자료실의 저작도구 난에서 받을 수 있다. 저장, 출력, 사운드 기능은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지만 동화 저작도구의 전형적인 예를 볼 수 있다. 앨범 만드는 저작도구 온 ... ...
- 지구 근접한 미확인 천체, 케이론과학동아 l1996년 05호
- 있지만 아직 혜성인지 소행성인지는 불명.케이론을 비롯한 4개의 켄타우루스들은 해왕성 뒤에 위치한 쿠이퍼대(Kuiper belt)에서 빠져 나온 천체들로 짐작된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 케이론의 공전주기는 50.7년, 크기는 지름 1백 48-2백8km, 자전주기는 5.9시간이다. 태양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근일점은 8.4 ... ...
- 첨단화된 북한 감시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디지털 계전기와 적외선 센서 등을 장착해 이전보다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한다. 케난의 뒤를 이은 크리스탈은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돼 88년 8월 처음 발사됐다는 것 외에는 아직도 구체적인 내용이 베일에 쌓여 있는 상태.KH-11(케난)의 위력을 세계가 실감한 것은 지난 86년 4월 29일 일어난 체르노빌 ... ...
이전111111121113111411151116111711181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