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텅스텐 필라멘트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웃으며 누를 끼쳐 미안하다고 했다. 밤새 8시간에 걸친 수술은 대성공이었다. 3개월
뒤
이군이 퇴원을 할 무렵, 이번에는 김종엽군이 화학약품의 폭발로 얼굴에 큰 화상을 입어 일주일간 입원하기도 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텅스텐선과 몰리브덴선이 탄생한 것이다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경우 '메모리 부족합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이럴때는 저장을 한
뒤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해제한 후 다시 을 실행시켜 파일을 두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저장해야 한다. 자칫 잘못하면 데이터를 날리기 쉽다.대신 2.0에서는 약 4백여 ... ...
유일한 푸른행성 지구의 생명체 지켜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빠지도록 지구가 형성됐거나, 원시 대기를 구성 하던 기체들이 지구가 형성된
뒤
곧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대부분 믿어지고 있다.오늘날 우리가 갖고 있는 대기는 화산활동과 같은 지구 내부에서부터의 가스방출에서 기인된 것이다. 현재의 대기는 약 78%의 질소와 20%의 산소로 돼 있다. 반면에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도 그는 화학을 다루고 있었다. 그의 인생의 전기는 그
뒤
MIT로 옮겨 3년 동안 연구원 생활을 하면서부터. DNA 합성에 성공함으로써 유전자 암호 해독에 기여한 공로로 196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고빈드 코라나(Gobind Khorana) 석좌교수의 연구실에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물론 가지나 줄기도 없으며 아무런 녹색광합성 조직이 전혀 없다. 열대우림 속 낙엽에
뒤
덮인 포도과의 야생 덩굴이나 큰 나무에 뻗어올라가는 덩굴 식물의 낮은 줄기 부분에 달랑 올라 앉아 꽃을 피운다.동물의 발이나 곤충에 의해 전파되는 씨는 어떤 덩굴에 박힐 때 비로소 싹을 틔우는데, 덩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하기 위해서 가소성 단위체와 형광성 미분자를 섞은 액체에 광섬유의 끝부분을 담근
뒤
레이저를 켜면 탐침의 끝부분은 단위체들을 결합시켜 빛과 색으로 변하는 중합체로 만드는 작용을 일으킨다. 이어 레이저광이 탐침 끝부분에서 형광성을 발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형광되는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T : (hh : mm : ss) 지정하는 시각 이후에 작성된 파일만을 백업 한다. 날짜지정을 한
뒤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M 이미 백업된 파일을 제외하고 백업이 안된 파일만 자동으로 백업한다. 백업 프로그램은 자신이 백업한 파일에 대해서는 아카이브비트(기록보존비트)를 0으로 돌려 놓는데 이 기록 보존 ... ...
낮잠 15분이 두뇌활력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뇌파 P-300이 실험대상자가 세어야 하는 소리가 나온
뒤
얼마만에 출현 하는지를 밀리초(${10}^{-3}$초) 단위로 측정한 것이다.이 결과 뇌파 출현시간이 15% 빨라졌고 진폭도 78% 증대되어 뇌가 그 기능을 회복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15분간의 낮잠이 심리적 생리적으로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여자 우주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를 태운 보스토크 6호의 발사에 성공한다. 2년
뒤
인 1965년 3월 18일에는 알렉세이 레오노프가 최초의 우주유영에 나서게 된다.1966년 2월 3일에는 루나 9호를 발사시켜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했는데 이 우주선은 해상도 높은 달 표면 영상을 지구로 보내왔다.1969년은 ... ...
이론과 실제 공기 저항으로 큰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A보다 더 빨리 떨어져야 한다.그러나 가벼운 돌 B는 A보다 늦게 떨어져야 하므로 A를
뒤
로 당겨, 묶어 놓기 전보다 A는 더 늦게 떨어져야 한다.위 두 해석이 상호 모순이 되기 때문에 무거울수록 빨리 떨어진다는 전제는 잘못된 것이다."(그림1)지구가 당기는 힘은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지만 가속도의 ... ...
이전
1152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