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스케치하는 것이 좋다. 많은 월면관측과 개략적인 스케치경험을 쌓아 자신이 붙은
뒤
세부 지형의 스케치에 착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경이 10㎝급이 되면 상당한 관측이 가능해지지만 역시 본격적인 관측이라 하면 구경 20㎝급 이상의 것이 좋다.스케치를 함으로써 달의 여러가지 지형을 자세히 ... ...
최신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먼저 체온과 같은 온도의 영양액에 6시간 동안 담그는 방법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한
뒤
에 얼리는 것이다. 결국은 인체의 모든 기관을 별 문제없이 얼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리라 기대된다.인간 거주지의 보전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소화기는 필요하긴 하지만 항상 잘 동작되는 것이 아니며 때로는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장착된 센서들은 스마트구조의 이상유무를 계속해서 관찰한
뒤
적절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 주임무다. 이 센서의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되어 항공기날개가 최적의 설계조건대로 작동되도록 할 것이다. 항공기날개에 장착된 광섬유 감지시스템은 스마트구조가 ... ...
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출원료와 심사청구료 전액을 면제해 주고 있다. 또 심사를 무사히 통과해 특허등록이 된
뒤
에도 3년동안은 등록료를 일체 내지 않아도 된다. 지난 해 대한민국 학생발명품전시회에 출품된 발명품은 총 1천2백49점(그중 전시된 것은 3백39점)이며 전국 우수발명품전시회에 출품된 발명품은 4백15점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2/8~3/8인치. 이 강관에 항공기의 소재를 강화시키는 기술이 적용된다. 즉 분말코팅을 한
뒤
4백℃의 열을 가한다. 물론 강관에 코팅된 분말은 어린이가 핥아도 안전하도록 독성이 없는 것이다. 또 이 침대의 천장부분은 눈금 16짜리 금속망으로 감싸여져 있다. 지진시 생기는 작은 파편들로부터 침대 ... ...
2020 초고속항공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것이다. 현재 극초음속항공기 기술은 미국이 가장 앞서 있으며 그
뒤
를 유럽 일본 등이
뒤
따르고 있다. 경제대국 일본은 막강한 경제력을 배경으로 2010년까지는 음속 2, 3배의 초음속 항공기를, 그리고 2020~30년까지는 음속 5배의 극초음속 항공기를 관련전문 연구소 및 항공우주산업체들과 공동으로 ... ...
2030 암치료제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주사하는 방법이다. 이때 항체는 암세포만을 찾아가게 하는 레이더 장치에 해당하며
뒤
의 독소는 미사일에 해당히는 것으로 '신비의 탄환'이라고도 한다.다른 시도로는 암면역요법이 있다. 환자의 임파구중 암세포에 활성화된 임파구를 외부로 빼내 증식시켜 환자 몸 속으로 넣어주는 방법이다. IL-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높인다고 무조건 천체가 잘 보이는 것은 아니다.일단 어떤 형태건 천체망원경을 장만한
뒤
에는 그 망원경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활용은 접안렌즈의 선택에 따라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관측대상에 따라 넓은 시야가 필요한 것인지 그렇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를 선택해야 하고, 또 어떤 배율로 대상을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함유한 콘크리트를 개발했다. 드라이는 부식을 막는 화학물질인 칼슘질산염으로 채운
뒤
폴리머 알코올인 폴리올로 봉을 한 폴리피닐렌 섬유를 콘크리트에 섞었다. 이 섬유 이웃의 짠물과 같은 부식물이 강철을 부식하기 시작하면 폴리올 코팅이 녹아 내리면서 섬유속에 갇혔던 칼슘질산염이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었지만 열대우림을 비롯한 삼림과 농촌지역에서 그것을 상쇄하는 양의 산소생산이
뒤
를 받쳐주고 있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다.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전체 규모에서 도시는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고 삼림 습지 바다 농경지는 그 이산화탄소를 자원 삼아 광합성을 함으로써 도시로 ... ...
이전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