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적인 수학자 故 김범식 교수님을 그리며…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전공하고, 고 김범식 교수님과 같은 UC 버클리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그 뒤 고등과학원, POSTECH 교수를 거쳐 아주대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장과 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습니다. 김범식 교수의 갑작스러운 별세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진실 역설의 예시로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이 있습니다. 케이크를 몇 조각으로 나눈 뒤, 각 조각을 적당히 회전시키고 재배치하면 원래의 케이크와 같은 크기의 케이크를 두 개 만들 수 있다는 역설입니다. 말도 안 되는 것 같지만 케이크가 무한히 많은 점으로 이뤄져 있다면 이 역설은 놀랍게도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토끼 쌍의 수는쌍이에요. 수의 규칙을 발견했나요?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한 값이 뒤에 온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규칙을 통해 12달 후 토끼 쌍의 수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이러한 수의 규칙은 오늘날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요. 피보나치 수열은 꽃잎의 수, 솔방울 씨앗의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따뜻한 방 안에서 어른을 위한 눈놀이를 하자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일어납니다. 용기를 얼음물에 담근 뒤 살살 흔들어가면서 기미를 살펴주세요. 그럼 잠시 뒤 투명하던 수용액에 흰색 결정이 눈송이처럼 생겨납니다. 자세히 관찰하면 염화암모늄 결정이 점점 커지는 모습도 볼 수 있어요. 소복이 쌓이는 염화암모늄 눈송이를 보니 아이처럼 설레는 기분이 듭니다. ... ...
- [이달의 기후위기] 들쭉날쭉한 강릉 해변 동해안 모래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나오고 있다. 영진해변에서 수산도매업을 하는 오진관 씨는 “가을에 태풍이 지나간 뒤 도로가에 있는 우리 가게 앞 해변엔 모래가 거의 남지 않아 파도가 도로까지 들이쳤다”며 “바다 한가운데 방파제가 생긴 후 부분적으로 모래가 깎이거나 쌓이는 현상이 심해졌다”고 말했다. 영진해변은 현재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살아있는 로봇, 스스로 번식까지 한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어떻게 만드나?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피부세포와 심장근육세포로 분화시킨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두 세포를 쌓는다. 피부세포는 로봇의 몸체에 해당하고, 심장근육세포는 수축, 이완 운동을 반복하며 로봇을 이동시키는 엔진 역할을 한다.지난해 3월에는 제노봇 표면에 섬모를 ... ...
- [과학뉴스] 산불 연기, 진화돼도 도시의 오존 생성 늘릴 수 있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제트기를 타고 2019년 7월과 8월 미국 서부를 비행하면서 산불 연기의 샘플을 얻었다. 그 뒤 산불 연기에 포함된 아질산(HONO), 산화질소(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 오존생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농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산불이 진화되면서 화염 기둥 속 NOx와 HONO의 양은 점차 줄어들었으나, VOC의 ...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그 결과 고주파 해동기(HFD)로 냉동 고등어를 해동하고 181℃의 온도로 9분간 증숙한 뒤 급속냉동한 경우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았고, 영양성분도 잘 보존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doi: 10.3390/foods10051135물론 이런 조건에서는 입맛을 돋우는 풍미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식품에서 긍정적인 풍미를 ...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나타낸 걸 보면 더 확실합니다. 10여 년 전부터 매년 1월 초에 검색횟수가 훅 늘었다가, 그 뒤로 점차 감소하는 패턴이 반복됐거든요. 역시 사람들은 시대와 국가를 막론하고 다 똑같다는 사실이 위안이 되면서도 씁쓸합니다. 다 알고 있습니다. 목표를 이루는 건 지루하고, 고통스러운 과정이라 ... ...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고려한다는 의미입니다. 분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죠. 넓은 운동장에 사람들을 모은 뒤 두 가지 특징에 따라 좌표를 만들어 각자의 위치에 세워놨다고 생각해봅시다.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적절한 위치에 선을 그어야 합니다. 특징을 세 가지로 늘린다면 3차원 건물에 사람들을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