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픽뉴스] 1인당 플라스틱 최대 배출국 1위 미국… 한국은 3위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미국국립과학원(NAS)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1인당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국가이며, 그 다음으로 영국, 한국이
뒤
를 잇고 있다. 배출 상위 국가들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전략이 필요하다.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관측 데이터는 NASA의 오래된 정책에 따라 천문연 연구팀에서 1년 독점적으로 연구한
뒤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공개된다. 이 선임연구원은 “애초 기기를 설계할 때부터 관측 아이디어가 정해져 있었고, 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기기를 개발했기 때문에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성공했다. 민간인들로만 구성된 우주 탐사대가 궤도 비행에 도전한 첫 사례였다. 10년
뒤
인 2030년엔 우주관광 시장의 규모가 40억 달러(약 4조 750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우주산업은 위성과 발사체를 생산하는 ‘업스트림(Upstream)’ 분야와 위성 영상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어렵다는 얼굴로 말했다.“제작자가 그렇게 잔인했을까?”“V결함을 해결하려고 지구를
뒤
졌던 빌드들도 암호에 대한 기록은 못 찾았잖아. 영원히 알 수 없을 거야. 그저 제작자의 역사를 보면 같은 종을 잔인하게 대했던 적이 많길래 추측해 본 거야.”의사는 고개를 돌려 천막 너머를 바라봤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세제를 넣었더니? 우유 속에 꽃이 피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표면장력을 약하게 만듭니다. 분비물로 인해 물의 표면장력이 약해지면 물이 퍼지며
뒤
에서 앞으로 소금쟁이가 빠르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지요.표면장력 변화를 이용한 이동 방식을 ‘마랑고니 추진력’이라고 해요. 연구팀은 이 로봇을 마랑고니 추진력을 활용한 로봇이란 의미에서 ‘마랑고니 ... ...
[그래프 뉴스] 과도한 어획, 자연의 수학 법칙 깼다!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시작되기 직전인 1850년과 2020년의 주요 해양동물의 전 세계 분포 데이터를 모았어요. 그
뒤
동물마다 방법을 달리해 총 무게를 추정했답니다. 예를 들어 식물성 플랑크톤의 경우에는 위성사진에 찍힌 바다 표면의 엽록소 양을 바탕으로 전체 식물성 플랑크톤의 양을 추정하는 알고리듬을 사용했어요 ... ...
[특집] 꼭꼭 숨어라~ 규칙 다 보인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이틀이 지나면 일요일이에요. 1년
뒤
같은 날짜의 요일은 어떻게 알아낼까요? 365일
뒤
의 요일을 구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365를 7로 나누면 몫이 52고 나머지가 1이에요. 금요일에서 하루가 지난 토요일이겠네요! 더 먼 날짜를 구할 때도 마찬가지 방법을 쓰면 돼요. 윤년이 끼어있으면 1년을 366일로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토끼 쌍의 수는쌍이에요. 수의 규칙을 발견했나요?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한 값이
뒤
에 온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규칙을 통해 12달 후 토끼 쌍의 수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이러한 수의 규칙은 오늘날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요. 피보나치 수열은 꽃잎의 수, 솔방울 씨앗의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개미가 좋아하는, 영양소가 풍부한 먹이가 붙어 있다. 개미는 씨앗을 개미굴로 가져간
뒤
먹이를 먹고 씨앗은 그대로 두는데, 결과적으로 씨앗을 땅에 심어 주는 역할을 한다.멕시코에서 자라는 몇몇 아카시아 종류도 개미와 끈끈한 공생 관계로 유명하다. 황소뿔아카시아라고도 불리는 아카시아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따뜻한 방 안에서 어른을 위한 눈놀이를 하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일어납니다. 용기를 얼음물에 담근
뒤
살살 흔들어가면서 기미를 살펴주세요. 그럼 잠시
뒤
투명하던 수용액에 흰색 결정이 눈송이처럼 생겨납니다. 자세히 관찰하면 염화암모늄 결정이 점점 커지는 모습도 볼 수 있어요. 소복이 쌓이는 염화암모늄 눈송이를 보니 아이처럼 설레는 기분이 듭니다.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