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공간과 시간은 동등한 차원이라는 것이다. 이렇듯 전자기이론은 상대론을 낳았고 그
뒤
에 발달한 양자이론과 양자 전기역학도 이 전자기 이론을 모태로 삼았다. 현대물리학은 이들을 바탕으로 전자기 힘 외에 두가지 핵 힘(센 핵힘, 여린 핵힘)을 규명해내면서 물리학의 궁극 목표인 대통일 이론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대개의 학교들이 내년까지는 2~3명의 교수를 새로 임용해야할 것"이라고 전망한
뒤
"전파공학이 실험시설비용이 많이 드는데다가 공부하기도 어려운 분야라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유학을 마치고온 사람들 중에도 이 분야를 공부한 사람이 적은 형편"이라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는 올해 학부과정을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극도로 긴 쇼트(extreme long shot)로 처리돼 있다. 유리판 위에 1930년대의 마을을 그린
뒤
연기자들이 움직이는 부분과 합성한 것이다.그 영화에서 세사람이 터널을 탈출, 밖으로 빠져나오자 수십m의 낭떠러지와 계곡이 기다린다. 이 장면도 유리판 위에 계곡을 정교하게 그린 다음 연기자들이 움직이는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소금을 많이 먹는 편은 아니라는 것이다.이 연구에 참여했던 윌렛박사는 결과를 분석한
뒤
"소금섭취가 아주 많거나 적은 양 극단의 지역에서는 소금이 혈압에 영향을 끼친다는 분명한 증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들이 포함되는 중간지역에서는 소금섭취량에 따른 혈압의 변화가 거의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수치다.지난 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의료사고와 관련된 사체 1백18구를 부검한
뒤
그 결과를 발표했다. 놀랍게도 여기서는 전체부검건수의 45.8%에 해당하는 54구가 의사의 오진에 의해 숨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에게 의사의 과오입증 책임지워그렇다면 의료분쟁에서 환자측이 ... ...
곰곰 궁리한
뒤
체스말을 옮기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미국 로체스터대학의 체스로봇은 매너가 아주 좋은 '신사'다. 그는 체스게임에서 지면 "축하합니다. 당신이 이겼습니다"라고 상냥하게 말을 건넨다.이 로봇을 설계한 컴퓨터과학자인 브라이언 마시는 로봇의 반경 2.7m안으로는 절대 들어가지 말라고 충고한다. 그는 이 반경을 '죽음의 원'이라고 부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필요하다. 실용화 예상연도는 2020년경. 이 분야연구는 미국이 단연 앞서고 있으며 그
뒤
를 일본이 따르고 있다(미국 2백50, 일본 1백, 유럽 30).현재 실용화된 로봇은 대부분 산업용이다. 이들 로봇은 할 일을 상세히 프로그램 시켜야만이 작동한다. 이들은 산업현장의 조립라인에서 단순작업을 반복할 ... ...
걸프전 환경영향 진상 밝히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토마스 카힐은
뒤
이은 조사에서 연기 속에 소금성분이 많았다고 지적한
뒤
이 소금이야말로 대수층이 기름층을 오염시킨 증거라고 주장했다.진화작업이 끝나기 전부터 들려왔던 기존 유전의 유압(油壓)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는 소식도 이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만약 세계 굴지의 산유국인 ... ...
산호로 손상된 뼈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생체적응력이 뛰어나고 자신의 임무를 다 한
뒤
에는 완전히 자취를 감춘다.70년대에 우연히 인간의 뼈와 산호가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후 15년 동안 프랑스의 장 루이파테박사는 둘의 유사성을 적극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 나섰다. 현재 그는 전세계의 산호를 정제하고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이다. 즉 지식의 적용범위가 비교적 좁고 타분야의 지식과 크게
뒤
섞이지 않는 특정기계수리분야라든지, 질병진단용 의학분야라든지, 아니면 간단한 운동경기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전문가시스템은 활발히 사용되었다. 특히 스탠퍼드 출신의 부캐넌과 쇼틀리프가 개발한 ... ...
이전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