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주면 간섭무늬가 회절돼 다시 본래의 위치에 상이 맺힌다. 이때 상은 사진건판의 앞 또는
뒤
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공간에 자리잡아 실물과 똑같은 3차원 인식을 준다.사용되는 광원은 초기에는 재생 기준파로 레이저 광선만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색광 또는 태양광선이 사용가능하다. 아주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찬성했다. 그러나 1960년 소련 지역에서 미국 정찰기 U-2기가 격추되는 사건이 발생한
뒤
미국의 핵무기 현대화와 맞서 경쟁할 것을 결심하고 CTB를 거절했다. 그후 CTB는 유명무실해졌다. 1980년대 중반에 미국과의 핵경쟁에서 한계를 느낀 소련은 다시 CTB의 추진을 요구했으나, 미국은 새로운 핵방어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쓸 것인가의 문제로 격론이 벌어졌다. 위원장인 웨그슈타인의 중재로 그 문제는
뒤
로 돌려진채 각자 방에서 분을 삭인 대표들은 다시 회의장으로 돌아와 회의를 진행했다.사소한 논쟁을 피하고 구조의 아름다움만 추구하다보니 입출력과 같은 사소한(?) 규정에 소홀 했다. 그 결과 알골은 포트란의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국대학의 대학원으로 남아야 한다고 주장해 과기대출신들과 의견이 엇갈 린다"고 밝힌
뒤
"과기대출신들이 KAIST 석박사과정 입학에 어떤 기득권을 가지겠다는 것이 아니라 과기대 수준이 뛰어나므로 우리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보는 것"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실제로 91학년도 대학원 입학비율을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복부로 흙을 파고 쟁기모양의 머리로 모래알들을 주위로 던져 올린다. 이렇게 구멍을 판
뒤
명주잠자리 유충(개미귀신)은 그 구멍 밑에서 머리와 집게 모양의 큰 턱만을 내밀고 웅크리고 있다.개미와 그밖의 먹이가 구멍 가장자리를 지나다가 모래가 무너져 밑바닥으로 떨어지면 냉큼 잡아먹는다.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하려면 원 프로그램을 파괴하지 않아야 하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원 프로그램의 맨
뒤
에다 그냥 덧붙이기만 하면 원 프로그램만 실행하고 말테니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바이러스 프로그램이 대상 프로그램을 감염시키는 과정을 오피스텔에 비유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한다.바이러스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2차원 평면상을 뛰어넘어 3차원 입체 영상을 사진에 기록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
뒤
에서 설명이 되겠지만 홀로그램인 3차원 영상을 기록하는 것은 두 파동의 간섭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사진건판에 기록하는 비교적 단순한 과정에서 시작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미 반세기전 과학자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따라 흐른다. 계속해서 이 강은 루마니아의 남동쪽으로 흘러 그곳에 삼각주를 형성한
뒤
흑해로 빠져 나간다.카르파티아산맥과 다뉴브강 사이에는 수없이 많은 지류들이 형성돼 있다. 이곳 사람들은 예로부터 이 지류를 따라 서로 교류를 했다고 한다. 실제로 다뉴브강은 중앙아시아와 유럽의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알데바란과 마차부자리의 노란색 카펠라는 남서쪽에서 유난히 밝게 빛나고 있으며, 그
뒤
를 이어 겨울을 알리는 쌍둥이자리와 오리온자리가 떠오를것이다.이달의 행성들금성 초순에는 새벽에 사자자리에서 볼 수 있으나 곧 처녀자리의 경계선을 지나 29일에는 스피카 옆에 있게 된다. 11월2일이 최대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덩치가 크다. 이들은 목성 주위를 돌며 목성의 좌우로 늘어서 있기도 하고 목성의
뒤
로 숨기도 하고 다시 나타나서 자기의 그림자를 목성에 드리우기도 한다. 또 목성의 그림자속으로 숨기도 해 목성이 거느린 귀염둥이 자식 같기도 하다.이 네개의 위성들은 일찍이 갈릴레이가 발견했다 해 ... ...
이전
1176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1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