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태도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서두르는 법이 없고 모든 과정들을 명확히 실증하고 터득한
뒤
에야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일을 서둘러 하다보면 외형적인 성과는 제법 빠르게 나타나지만 일을 마무리 짓는 단계에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모든 절차를 확인해야 하므로(특히 학술 연구의 경우)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런던형 스모그와 L. A.형 스모그가 그것인데 그 둘의 차이를 바르게 지적한 것은?①도시를
뒤
덮은 스모그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 것이다.②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 다르다. 런던의 경우는 주로 질소 산화물이고 L. A.의 경우는 황산화물이다.③생성원인이 다르다. 런던스모그의 오염원은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문제를 통해 상식과는 다른 과학법칙을 소개했다.4부 순서에서는 과학영화를 상영한
뒤
, 별을 보고 농사일정을 잡았던 조상의 슬기를 되살리며 학부모와 학생들이 함께 4월의 별자리를 관측했다.이날 행사를 이끈 이 모임의 대표 박종규 교사(예일국교)는 "앞으로 과학잔치를 원하는 벽지학교에서 ... ...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편광필터 망계열제품도 점차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구리 도금을 한
뒤
특수코팅을 한 미세한 망사를 사용, 일부 전자파는 물론 정전기까지 제거할 수 있는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망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면 자체가 매우 어둡고 화면 떨림현상이 발생해 단점으로 지적된다.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불끈 쥔 주먹을 높이 치켜든 친구들과 갸날픈 손으로 연신 눈시울을 훔치시는 어머님을
뒤
로하며 총총히 빠져나온 그곳은 너무나도 극적으로 잘 꾸며진 상징적인 새출발의 장소였다.학비를 포함한 생활비 전액이 학위 전과정을 통해 보장된다는 유학조건에의 만족은 '교육경비는 개인에 의한 ... ...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않는 합성세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생활용수도 한 곳에 모아 일단 정수한
뒤
에 방류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들이 얼마나 수질보전에 힘쓰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우리나라는 몇 군데에 종합하수처리장을 설치하고 있을 뿐이다. 생활하수는 그대로 버려지고 있으며 공장폐수마저도 관계법을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969년까지 아폴로계획에 쓴 경비는 2백56억 달러, 당시 우리나라 예산의 23배)를 쓰고 난
뒤
의 허탈감뿐이었다. 72년 닉슨대통령은 여러번 사용이 가능한 우주선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우주왕복선이다.처음부터 우주왕복선이 사람을 태우고 다닌 것은 아니다. 컬럼비아호에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서서히 모습을 감추고 있고 봄밤의 전령사 레굴루스도 다른 사자자리의 별들과 함께 그
뒤
를 따르고 있다. 동쪽 산등성이 위로는 청백색의 직녀가 떠오르고 붉은 빛의 안타레스도 그 남쪽에서 서서히 등반을 시작한다. 이중성대부분의 별은 우리 눈에 하나인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한 개 이상의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신제품을 개발한 회사는 낙심천만이었다. 막 팔려고 내논 제품들이 전시장에서 먼지만
뒤
집어쓰고 있었다. 그 회사는 IBM을 제소했고 재판은 몇년을 끌었다. 결국 IBM의 흑색선전이었음이 밝혀졌다. 이 싸움을 지켜본 많은 사람들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라고 평했다. IBM은 엄청난 배상금을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너비이며 피트는 발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그러나 비교적 근대로 들어와 체계가 잡힌
뒤
전세계적으로 사용된 것은 역시 미터법이라 하겠다. 미터의 정의는 프랑스 혁명 후 1790년 탈레이랑(C. M. Talleyrand)이 지구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자오선 길이의 1천만분의 1을 1m로 하자고 제의한 것이 효시다. ... ...
이전
1185
1186
1187
1188
1189
1190
1191
1192
1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