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화학자들은 유용한 이성질체 분자만을 합성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답니다. # 에필로그“배달을 끝냈으니 우리는 이만 탐정사무소로 돌아갈게요.”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거울 나라를 떠나려고 했지만, 출구를 찾을 수 ...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백 nm(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길이로 늘이는 섬유 생산 방법이다. 연구팀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으로 기판을 만든 뒤 습기를 흡수해 팽창하도록 폴리에틸렌 산화물을 첨가해 씨앗 로봇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로봇은 실제 토양에서 주변 습기를 흡수해 모양을 바꿀 뿐만 아니라, ... ...
- 쥐가 먹은 나노플라스틱 2시간만에 뇌에서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중지질막을 설정하고 플라스틱이 통과하는 경우를 살펴본 결과, 플라스틱을 주변 생체분자들이 둘러싸 ‘바이오코로나’라는 혼합체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바이오코로나가 되면 나노플라스틱의 기존 물리화학적 특성, 기능, 독성 등이 변해 혈액뇌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루카스 케너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비공유 전자를 가지고 있는 원자라 반응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상처로 끊어진 콜라겐 분자들 사이에서 공유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즈벵갈 염료가 계속 작용할 수 있도록 빛 에너지를 저장해서 30분 이상 녹색 빛을 내는 잔광발광입자(ALP・afterglow luminescent particle)를 만들었다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의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jinwoo.seong@imba.oeaw.ac.at / sjw11071@gmail.com 염민규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성체줄기세포와 대장암을 연구해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촉매 재료다. 구리만이 이산화탄소(CO2) 속 하나의 탄소 분자를 중합해 C2 이상의 다중 탄소 화합물로 만드는 ‘이합체화’ 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 교수팀은 전기 에너지가 가해질 때 탄소뿐만 아니라 촉매까지 변하는 것을 막는 방법도 서울대와 공동으로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의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jinwoo.seong@imba.oeaw.ac.at / sjw11071@gmail.com *염민규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성체줄기세포와 대장암을 연구해 ...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텅 빈 발표장에서 발표자와 좌장 몇 명만 돌아가며 발표하거나 들었죠. 당시 주목받던 분자표적항암제 발표장과는 너무 달랐습니다. LAK세포치료마저 벽에 부딪히자 면역항암제는 성공할 수 없다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혼조 교수는 PD-1을 차단하는 약을 개발하고자 특허 출원을 요청했지만 대학, ... ...
- 생명의 블록, 어떻게 맞춰졌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증명하기도 힘들다. 그러나 생명의 기원을 찾기 위한 노력 덕에 20세기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은 엄청난 발전을 이뤘다. 21세기 들어서는 우주생물학이나 세포막과 DNA를 합성해 직접 인공 생명을 만드는 합성생물학 같은 새로운 과학 분야가 등장했다. 나아가 생명의 기원에 관한 실험적 증거들은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질긴 세라믹, 질긴 금속 일상의 혁명을 가져오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다니던 분자들과 결별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수증기가 된다. 이와 같이 액체나 기체의 분자는 지정된 위치에 가만히 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진동하기 때문에, 물을 분리시켜 새로운 표면을 만들면 새로운 표면의 원자구조는 내부의 원자구조와 별 차이가 없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표면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