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50~1백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물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도 아니고 고무관을 위(胃)까지 주입한
뒤
음식물을 넣어 주어야 하는 번잡스러움이
뒤
따른다.겉보기보다 약한 체질무더운 여름철에 동물원 풀장에서 힘차게 헤엄치며 '꽥꽥' 소리치는 물개를 보면 건강의 화신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실제로는 병에 잘 걸리는 동물이다.물개의 사체를 해부하다 ... ...
보이지 않았던 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60년대부터 뉴스거리가 됐다. 어떤 사람들은 모든 돌기둥들이 제 위치에 놓이도록 재건한
뒤
일부 돌기둥을 따라 관찰하노라면 하지날 떠오르는 태양의 위치를 알아볼 수 있다고 믿게 됐다. 한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바위의 배열은 석기시대에 월식을 예측할 수 있는 관측소의 역할을 담당했을지도 ... ...
하늘의 변덕을 헤아리는 불침번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대기과학의 미래에 동참할 수 있다는 자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언젠가 전공서적을
뒤
적이다 '난류(turbulence)는 대기 불안정의 결과물로서만이 아니라 대기 불안정을 억제하여 안정된 상태로 되돌리려는 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라는 구절을 발견하고, 그 현상인식의 참신한 방법론에 너무도 ... ...
아기 돼지를 잘 이해하는 로봇 돼지엄마 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있는 것이다.그런데 더 재미있는 것은 이 로봇 '엄마'의 젖을 먹고 자란 새끼들은 자란
뒤
에 여물을 좀처럼 탐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왜 그럴까. 진짜 어미의 유선(mammary gland)에서 나온 젖을 먹고 큰 새끼들은 그야말로 젖을 먹기 위해 죽기살기로 달려들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다른 ... ...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식민지였다가 나폴레옹의 스페인 점령을 틈타 독립을 쟁취했다. 독립(1816년)을 선언한
뒤
스페인어를 쓰기 싫었기 때문에 라플라타 대신 아르헨티나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브라질 칠레와 함께 남미의 ABC국 중 하나로 꼽히는 아르헨티나의 원주민은 인디오다. 하지만 지금은 북부지방에 2만~3만명의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달리 반사경에 구멍을 뚫어
뒤
에서 보게 되어 있는 구조인데, 제작이 힘들어 8년
뒤
인 1671년에 와서야 후크(Hook)에 의해 제작됐다.한편 프랑스의 카세그레인(Cassegrain)도 현재 카세그레인식이라고 불리는 망원경을 1671년에 제작했다. 이 방식은 그레고리식과는 달리 부경(副鏡, 또는 사경)에 볼록거울을 ... ...
15년 후에나 개발가능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공기를 통하게 해 쓰레기 분해속도를 촉진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먼저 매립지를 조성한
뒤
침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을 설치한다. 쓰레기를 쌓는 방식은 '매일복토' 형식을 취한다. 쓰레기를 2m 높이로 쌓으면 흙(연탄재 포함)을 30cm 정도 덮어 냄새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를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미국의 대학들은 모든 연구개발의 원천입니다. 그런데 우리의 대학수준은 엄청나게
뒤
떨어져 있고 또 그 수준이 천차만별입니다. 대학의 연구 능력과 인력 양성에 더 힘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김영-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전세계의 과학자들을 최대한 자기 나라에 끌어 모아 기술강국의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현광남(45·아시카가공업대 경영공학) 홍정국(42·도호쿠대 화상처리학)씨 등이 그
뒤
를 잇고 있다.그밖에 김무완(38·오사카대 통신공학교수)씨를 비롯해 김철(35·조지대 집적회로공학) 이우민(34·도쿄대 천문학) 박사 등 젊은 과학자들이 촉망받고 있다.파악 어려운 중국·소련 거주 과학자들중국과 ... ...
안전벨트에 관한 「미신」많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특히 버스사고인 경우에는 가벼운 충돌에도 얼굴에 손상을 입기 십상"이라고 전제한
뒤
"버스에 3점식을 더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현재 국내의 모든 버스(고속버스 시외버스 포함)는 2점식 벨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 2점식은 가벼운 접촉사고나 급정거시 별효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이다 ... ...
이전
1199
1200
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