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취라 불리는 통증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돌아올 때까지의 전 과정이 모두 마취의 영역이라 볼 수 있다.특히 마취를 유도한
뒤
수술이 시작되면서 환자의 전신상태의 관리는 수술중 환자의 생명을 관장해야 하는 마취과 의사의 책임하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마취과 의사들의 책임은 무겁고도 중요하다. 마취의들은 인간의 생명을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비율은 60대40.물리학과 염도준교수는 물리의 1백50점중 1백점은 받아야 한다고 전제한
뒤
물리다득점 요령을 설명했다."그저 막연하게 공식에 대입하려고 시도해서는 안됩니다. 먼저 문제에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고, 교과서에서 배운 원리에 입각, 적절한 해결책을 구상해 풀어나가야지요. 채점할 ... ...
달라진 천리안Ⅱ 서비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메뉴방식은 초기화면에서 지역별 선택을 하고난
뒤
업종 자본금 종업원수 매출액의 메뉴가 화면에 나타나며, 그중 검색대상을 선택하면 해당기업의 프로필이 화면에 나타난다.키워드방식은 지역 기업체명 자본금 업종 종업원수를 한글 및 숫자로 직접 입력하면 ... ...
연체동물이 뿌리는 먹물의 용도는?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색소가 분출됐다.곧 이어 연구팀은 '느림보'의 천적으로 알려진 말미잘을 수조에 넣은
뒤
관찰을 계속했다. 말미잘이 '느림보'를 3분의 1쯤 삼켰을 때도 먹물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절반쯤 삼키자 '느림보'의 몸에서 먹물이 분출되기 시작했다 "이때의 먹물은 방어용이 아니라 스트레스때문으로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새겼다. 그 다음 오토와 찰흙을 섞어 만든 재료 대신 석고를 사용, 글자를 둘러싼
뒤
열을 가해서 파라핀을 녹여 없앤다. 그리고 그 활자의 형틀에 녹인 청동을 부어 넣으면 청동활자가 된다. 이를 통해 같은 글자로 갈은 거푸집을 여러 개 만들어서 청동활자를 부어내지 않았다는 사실이 확연히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표준유적이라고 할수 있었던 만주 고향둔(顧鄕屯) 유적을 찾아 발굴 보고를 한
뒤
에 이 동관진유적을 대하게 된다. 그래서 이 동관진 문화는 고향둔 유적보다 약간 늦은 시대라는 것도 주장하고 있다.그런데 불행하게도 이 보고서에서는 흑요석 격지(몸돌에서 돌망치로 깨져 나온 부분) 2점 (길이 27.5 ... ...
한글 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같다. 상하좌우 화살표키를 사용하여 역전막대를 원하는 항목에 위치시킨
뒤
↲키를 누르면 된다. 메뉴에서 빠져 나가려면 ESC키를 누른다.그런데 메뉴에는 각 항목의 옆에 ^ 나 @의 기호와 알파벳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무엇일까. 해당 항목의 기능을 메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실행할 수 ... ...
Ⅰ 호르몬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시상하부의 중추신경이 충분히 발달해야 한다. 그래야 뇌하수체와 성선 등의 성숙이
뒤
따르게 된다. 따라서 중추신경계질환이 있거나, 뇌손상이 후유증이 남아 있으면 2차성징이 아예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또한 시각장애나 정서적 장애가 심하면 2차성징발현이 지연된다. 반대로 텔레비전을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모래에 찍으면 눌려진 오목(凹)한 곳에 글자가 새겨진다. 그리고 두 인판(印板)을 합한
뒤
용동(鎔銅)을 구멍을 통해 부어 주면 유액(流液)이 오목한 곳에 흘러 들어가서 한자 한자가 완성된다. 이리하여 겹치고 덧붙은 것을 깎아 새겨 정리하였다.”15세기의 조선 학자가 청동활자를 부어 만드는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F. Sanger)를 흥분시켰다. 그가 처음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을 결정하는 방법을 고안한
뒤
실제로 적응해 보는 실험을 하기에 인슐린은 더할나위 없이 좋은 대상이었던 것이다. 생거는 1958년 이 업적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는데, 이 일은 왓슨과 크릭의 유전자구조 해명과 더불어 소위 분자생물학의 ... ...
이전
1200
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
1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