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캥거루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발이 있는 것 같다. 급히 서둘러 뛸 때는 앞발은 오그려 가슴 앞에 모으고 꼬리는
뒤
로 치켜 든다. 그리고 꼬리를 힘주어 뻗쳐 균형을 잡고 뒷발만으로 껑충껑충 뛴다.캥거루도 부드러운 모피를 구하려는 사람들이 마구잡아 그 수가 매우 감소되었다. 또 들개의 일종인 '딩고'에 물려 죽어 한때는 ... ...
검은 돌을 반짝이는 돌로 인조다이아몬드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큰 반응로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러나 플라스마화학기상석출법에 비하여 재현성이
뒤
떨어진다. 특히 가스유량의 변동에 영향을 받기 쉽다.한편 플라스마법은 장시간 연속가동하여도 다이아몬드를 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1백시간 이상 연속생산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가스유량이 다소 ... ...
두드러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심하게는 호흡곤란이나 복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발진(發疹)은 12시간이내 자연소실되나
뒤
이어 연속적으로 발생한다.증상이 심하고 단기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급성두드러기라고 한다. 반면 6주이상 지속되는 것은 만성두드러기라고 한다.급성두드러기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또 과거 병력(病歷 ... ...
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라 울고 웃으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시도해도 되지 않던 반응이 뜻밖에 풀리는 경우도 있었다. 화가 나서 며칠 동안 쉬고 난
뒤
실험을 했더니 신통하게 반응이 일어났다. 이처럼 연구자를 울리고 웃기는 일은 비일비재했다.과학기술자가 연구하여 얻은 결과물이 세상에 공포되면 모든 사람들은 놀라움과 찬탄을 금치 못한다. '우수한 ... ...
개별학습이 가능한 컴퓨터 가정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영국/국민학교 90%이상 컴퓨터 보급보수적 성향이 강한 영국에서의 CBE연구는 비교적
뒤
늦게 시작되었다. 60년대 후반부터 리즈 런던 에딘버러 등 여러 대학들이 공동으로 NDPCAL이란 이름 아래 영국정부의 기금으로 연구 개발을 수행해오고 있다.CBE 보급이 본궤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것은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주신 제우스가 이 개를 하늘로 올려 큰 개자리로 만들었다는 얘기다.겨울에 해가 진
뒤
동쪽 하늘로부터 올라오는 '시리우스'가, 새벽녘 동쪽 하늘에 등장하는 태양보다 앞서 떠오르게 되면 여름철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시리우스'가 태양과 함께 여름철 더위의 원인이 된다고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긴 코를 감아 애정을 표시한다. 그러다가 마침내 육중한 거구를 서로 맞비벼대며 엎치락
뒤
치락 뒹굴고 울부짖는다. 사랑하는 절차가 얼핏보기엔 사생결단하는 일대결투 같지만 그들에겐 더없이 아기자기한 구애동작이다.임신기간은 20~22개월인데 갓난 새끼도 몸무게가 90~1백㎏이나 된다. 코끼리가 ... ...
국민 10명중 1명 꼴 황달없는 간염이 더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전파된다.A형은 급성 간염만 일으킬 뿐 만성적인 감염은 없다. 또 A형은 알게 모르게 앓고
뒤
끝없이 잘 낫지만 B형은 다르다.B형간염은 급성 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바이러스 보균자를 낼 수 있다. 또 만성 간염, 간경변증 그리고 간암 같은 만성 간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국내 성인층의 간염은 대부분 ... ...
시간강사 춥고 배고프지만 양지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않았다는 후회가 항상
뒤
따른다. 또 무엇보다도 내 자신이 훨씬 더 많은 것을 공부한
뒤
에 강의를 해야한다는 생각이 나를 부담스럽게 한다.●―19세기 과학에 반해5년전 과학사를 전공하겠다고 미지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았을 때에 비해선 내 자신의 관심 또한 많이 변했다. 처음엔 막연히 과학사를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을 배양하여 보니 배양액에서 테트로도톡신이 검출되었다. 86년의 일이었다. 그
뒤
지금까지 복과 영원의 피부에서 채집된 비브리오균 외 여러가지 세균에서 이 독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지금은 복독의 원인이 세균으로 좁혀지고 있다.그러나 테트로도톡신이 어떻게 합성되는가. 또 ... ...
이전
1226
1227
1228
1229
1230
1231
1232
1233
1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