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하는 게 좋다. 특히 자신이 불안해하던 일을 끝마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일을 마친
뒤
잠자리에 들면 불안이 해소되어 잘 잘 수 있게 되는 것이다.근육긴장을 푸는 운동도 숙면을 돕는다.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근육긴장을 점차적으로 풀어주면 자기최면상태로 몰입하게 돼 잠을 자게 되는 것이다. ... ...
실험실의 게릴라 사상 처음 말라리아 백신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분리해온 말라리아균의 단백질들을 여러 그룹의 원숭이에게 주사했다. 30일
뒤
에야 살아있는 말라리아균을 원숭이에게 주입했다. 이런 실험과정을 통해 그들은 가장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 세가지를 골라 합성시켰다. 세균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따로 주입이때에는 컴퓨터의 도움을 크게 ... ...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 이에 자력선 치료기는 2개 종합병원의 임상효과를 확인한
뒤
보건사회부의 제조품목 허가를 받도록 약사법 제26조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자력선 치료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한국기계연구소(KIMM)의 안전성·유효성 검사인을 꼭 받게 되어 있으므로 확인을 한 후 구입하여야 ... ...
학력고사 출제위원장이 들려주는 얘기 "열가지 기능보다 한가지 이론이 더 낫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한 어떤 응용문제도 풀수 있다는 이야기로 해석하기 바란다.
뒤
에 숨은 한가지 이론도 완전히 내 것으로 하지 않고 10가지 문제를 푸는 기교만 배워야 별 가치가 없다는 뜻이다.서툰 목수가 연장탓을 한다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탓 저탓 할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 ...
유전공학의 배양기술이 감자농사를 돕는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땅에 묻으면 땅속에서 새 감자가 자란다. 특히 요즘같이 겨울에는 씨감자의 눈을 자른
뒤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기 위해 재를 뿌려 관리해 왔다.이처럼 감자농사의 '핵'에 해당하는 씨감자는 매년 7~8만t이 필요하다. 값으로는 약 25억원어치가 겨우내내 농가의 구석에 '별볼일 없이 '저장되고 ... ...
겨울여왕이 펼치는 동화의 세계 얼음꽃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을 보호하게 된다는 것이다.나는 신비의 숲을 나와
뒤
를 돌아보면서 생각했다. "이윽고 봄이 이 숲을 찾아오겠지. 그러면 겨울 여왕이 펼쳐놓은 동화의 세계도 사라지겠지"하고 ... ...
엎취락
뒤
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전자공학의 우세가 승부를 결정지은 것이다.소련은 미국의 달 탐험이 성공한 일년
뒤
인 1970년 루나 16호를 발사, 달의 흙을 파가지고 왔다. 이때 소련의 과학자들은 경제적이고 안전한 무인 로봇을 이용했다.다음은 화성으로인류는 언젠가는 화성에 갈 수 있을 것이다. 화성정복을 위해 미리 ... ...
동물들의 겨울잠·여름잠 추위와 더위, 건조함을 이기는 생리기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체온이 서서히 떨어져서 직장의 온도가 33~34℃가 되면 심장의 박동률이 급격히 떨어진다.
뒤
이어 숨쉬기의 율도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겨울잠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추위인 것은 분명하지만, 추위만으로 겨울잠이 유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동물이 겨울잠에 대한 준비를 갖춘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금방 일어서고 걸어다니기도 한다. 반면 사람의 갓난아기는 그러한 운동면에서는
뒤
늦은 것 같아 보인다. 강아지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뜨기도 전에 발발 기어다니고 사슴새끼는 가늘고 긴 다리를 일으켜 세워 허느적거리며 걸어다닌다.그렇다면 사람의 신생아는 그에 해당하는 능력이 없는가? ... ...
태양을 스쳐 지나가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62마일의 속도로 움직였다. 이 혜성은 태양가까이 있다가 3시간이 약간 넘는 시간이 흐른
뒤
퇴각하기 시작했다.그렇게 짧은 근접시간이라도 혜성의 존재를 없애버리기에는 충분할 것 같으나 실은 완충역할을 할 환경이 존재한다. 혜성은 녹아 증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순식간에 수증기 구름에 ... ...
이전
1227
1228
1229
1230
1231
1232
1233
1234
1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