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것이 밝혀졌다. 다만 일률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고 30세쯤 까지는 급격하게, 그
뒤
는 천천히 증가하는 식이다.남녀별로는 어느 연대층도 여성쪽이 거의 10% 오른손잡이가 많으며 그리고 남성보다 2~3년 빨리 오른손잡이가 되는것이 특징적이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남성쪽에 왼손잡이가 많다는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얻던 천연염료는 합성화학의 발달에 따라 인공염료로 대체되었다.여름날 비가 내린
뒤
산 중턱에 걸린 무지개를 보는 순간 사람들은 그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에 도취된다. 또 장미꽃이나 철쭉꽃을 볼 때도 같은 심정일 것이다. 그 때마다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과 신비로운 색깔을 자신들의 곁에 ... ...
무엇이 매력포인트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구조체명 {구조체 멤버} 구조체 변수명; (프로그램12)은 두개의 구조체 변수 x y를 선언한
뒤
구조체변수에 데이타를 기억시키기 위해·(period)를 사용하여 해당 멤버를 지정한다. (프로그램12)의 구조체 변수는 구조가 같기 때문에 이를 하나로 묶어서 선언할 수 있다.(프로그램13)에서 알 수 있듯이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물이 매시 48t씩 용솟음쳐 나오고 있다. 가뭄이 계속되어도 마르는 일이 없고 비가 온
뒤
에도 늘어나지 않는다. 당나라 시대 부터 목욕하기에 좋고 마셔도 좋은 영천 으로 알려져 왔다.폭포도 황산의 매력중 하나다. "맑으면 여러 기암 기봉을 바라보고 비 오면 날듯이 쏟아져 내리는 폭포를 본다"고 ... ...
너무 커서 숨길 장소도 찾지 못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관련이 있는게 틀림없다고 항공관계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시험비행을 마친
뒤
시아틀근교의 보잉회사구내에 착륙하고 있으나 근접 촬영을 금했다. 그러나 비행기가 워낙 커서 격납고에 들어가지 못하는지 그냥 노천에 세워둬서 망원렌즈로는 찍을수 있었다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서울지난해 4월28일 소련 체르노빌원전의 핵누출사고가 서방세계에 의해 처음 감지된
뒤
우리나라는 5월1일부터 비상 환경방사능 측정감시체제에 돌입했었다. 5월말까지 수행된 비상감시체제는 처음 13일간 하루 3회씩 측정결과를 에너지 연구소가 종합분석하는 등 분주한 활동을 폈으나 그 이후에는 ... ...
공부 잘하고 사무능률 올리려면 집중력을 높이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끓이거나 손을 씻거나하는 간단한 행동이라도 좋다. 또 전에 비스킷을 몇개 먹고 난
뒤
에 공부했을때 능률이 올랐던적이 있었다면 비스킷을 먹는다는 행위도 유효한 의식이 될 수있다.요컨대 '지금부터 공부를 시작한다'고 하는 마음가짐을 갖추거나 기분전환을 할 수 있는 행동이면 좋은것이다. ... ...
유전자는 재형성되면서 항체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예방접종을 개선시켜 혈구파괴같은 부작용이 없는 백신을 생산하거나 장기이식수술
뒤
발생하는 거부반응을 억제해 이식된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응용될 수 있다. 또 면역기능의 파괴로 걷잡을 수 없이 각종질병에 시달리게되는 후청성면역결핍증(AIDS)의 정체를 바르게 ... ...
도네가와박사 "일본인으로서 수상했다는 사실에는 아무 감회도 없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일했으며 그동안 개척자적인 수많은 연구업적을 남겼다. 81년에는 현재의 MIT교수가 된
뒤
미국매사추세츠주 뉴튼시에서 살고있다. 그는 85년 일본 NHK 아나운서출신 부인 마유미(33)와 재혼, 9개월된 아들을 두고 있다."과학은 국제적인 것이고 과학자가 특정 나라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이 영향을 ... ...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열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의해 마이스너 효과까지 확인됨에 따라 완전한 초전도 물질로 받아들여지게 됐다.이
뒤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각국에서는 또다시 초전도연구에 열을 올리게됐고 올해들어와 하루가 다르게 초전도가 일어나는 온도의 한계치(임계온도)가 높아지고있다. 현재 고온(高溫) 초전도물질로 각광을 받고 ... ...
이전
1247
1248
1249
1250
1251
1252
1253
1254
1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