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뽑아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건널목이 뒷부분에 위치한 관계로 차량과 사람이
뒤
섞이는 혼잡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중(1년에 7천5백명) 보행자사고가 60%를 차지하고 이 중 교차로 부근에서의 사고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만 보아도 교차로 운영이 얼마나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공작 생산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는 것입니다. 또 스스로
뒤
떨어진 것을 깨우쳐
뒤
쫒아가려고 무진 애를 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주당 15시간 정도인 공대 강의시간이 30시간 이상 되는 곳이 많은데, 숙제도 빠짐없이 해옵니다.또 다른 특징은 소련이나 동구유럽 대학생의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고쳐야 할 프로그램이 하루에도 수십개 이상이 될것이다. 이런 때에는 업무시간이 끝난
뒤
컴퓨터의 일상적 기능을 정지시켜놓고 프로그램을 하나하나씩 고치는 것이 능률적이다. 필요없는 정보는 지워 없애버리고 훗날에 혹시 쓰일지라도 모르는 정보는 따로 떼어서 기억장소에 보관시켜 놓는다. ... ...
지구의 종말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지구가 충돌했다고 한다. 이런 충돌이 생기면 지구표면이 수개월동안 심한 먼지에
뒤
덮히고 충돌부분은 참혹하게 일그러지게 마련이다.지금부터 약6천5백만년전 혜성의 무리들이나 큼직한 유성이 지구와 충돌, 당시 지상의 왕자로 군림하던 공룡류와 나머지 생명체의 반이상을 멸종시켰다는 것은 ... ...
미국의 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있을 것이다. 식물계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해서 많은 자연이 사라져간
뒤
미국의 국립공원에서는 자연의 경이의 전당을 후세에 남기려 애쓰고 있다. 야생 생물의 은신처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일로 일부에서는 동물왕국의 재건에 성공하고 있다. 지금 미국에는 48개소의 ... ...
비상걸린 청소년의 정신질환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상처를 내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기분을 좋게 해준다는 것이었다. 병원에 입원한 지 9개월
뒤
에 그녀는 회복됐다. 그녀는 음악장학금을 받아 훌륭한 대학에 잘 다녔으나 2년후 다시 우울증의 증세가 나타나 존스 홉킨스 병원에 입원했다. 이때 이 정신병원의 원장인 '레이몬드 데파울로'는 그녀를 ... ...
기초과학 뿌리내려야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발생하지 않아 전력손실이 없어진다. 이 현상은 20세기 초반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반세기
뒤
에야 바딘박사 등에 의해 이론적으로 규명되어졌다. 자기부상열차 등에 이용되는 이 현상은 앞으로 응용분야가 더욱 넓어질 것이다. - 한국의 주요 반도체 공장을 둘러보셨는데··· "외형적으로 보면 ... ...
끝없는 미스테리 우주인과 UFO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뽑았다는 사건이 있었다. 1955년 미국 켄터키주의 농장에서 당한 일이다. 이것도
뒤
에 있던 친구가 목격하고 경찰에 알렸다는 방증이 있어서 사실로 인정돼 있는 사건이다. 목격자의 신빙성 문제 이렇게 목격·기록보고가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 신빙성을 가려내는데는 목격자의 신분이 ... ...
스피커 시스템2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된다. 내선 연결이 끝난다음 내부판에 흡음재인 유리섬유를 붙이는데 스피커 유니트
뒤
쪽에 덮어씌어주면 된다. 인클로저에 스피커 유니트를 설치한 다음 닥트(구멍)이 아닌 다른곳에서 내부의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시켜 주어야 한다. 많은 압력이 가해질때 잘못되면 찌그러지는 음질이 ... ...
간염백신의 대량생산 길을 활짝 열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미생물학 연구수준은 어느정도입니까. "시설수준으로는 일본에 비해 10년가량
뒤
졌다고 봅니다. 현미경 하나에 3만달러나 드는데 연구비 몇백만원 가지고는 장비 하나 사기 힘든 형편입니다. 그러나 연구원의 수준은 고르지는 않습니다만, 근래에 매우 높아진 것 같아요" 40대 초반의 소장학자로서 ... ...
이전
1270
1271
1272
1273
1274
1275
1276
1277
1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