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련 제3세대 우주정거장「미르」발사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7)은 전장 약40m, 최대중량 약40t으로 추정된다.'미르'가 샐류트6,7과 다른 특징은 앞
뒤
합해 6개의 도킹장치를 갖추어'우주공장' 건설에의 길을 연것이다. 6개의 도킹장치 중 5개는 반구형에 가까운 앞쪽에 있다. 샐류트와 같이 앞쪽 중심부에 도킹장치가 1개 있고 그 상하좌우(중심축에 수직방향)에 ... ...
결함DNA를 잘라낸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암에 다음가는 3번째의것이다.심장마비나 뇌일혈과 관련된 인체의 화학적변화가 잠을 잔
뒤
에 어떤모습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겨우 최근에야 조금씩 알려지고 있다. 예컨대 혈소판(platelet) 이라고 불리우는 혈액세포는 아침에 엉겨붙는 일이 잦은데 이것은 심장이나 뇌의 동맥을 막히게하는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무기가 갖추어야 할 완성도에는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비행거리가 짧다든지 기동성이
뒤
진다든지 요격에 약하다는 등 전투기로서는 몇가지 기본적인 약점을 갖게 될 지도 모른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텔드'는 미 국방성의 안팎에서 나름대로 큰 매력을 주고있다. 연방정부가 이 비행편대를 사들일 ... ...
가장 오래된 식물은 어떤 것들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지금으로부터 약38억년전에 바다에서였다. 바다동물이 나타난 것은 이보다 훨씬
뒤
의 일이었다. 오랫동안 바다에서 살던 식물이 육지로 올라온 것은 약 4억년전 (고생대 데본기 초)이었으며 그로부터 점점 번식하여 지상에 대삼림을 이루게 되기까지는 1억년이란 긴 세월이 소요되었다.그런데 ... ...
현대선박해양연구소(HYUDAI MARITIME RESEARCH INSTITUTE)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자동화된 기계를 컴퓨터로 작동하게 조작해 놓으면 사람이 없어도 정확하게 만들어낸
뒤
기계가 정지된다는 것이다. 프로펠러 모형 제작만이 아니다. 선체 모형을 만드는 과정을 비롯 모든 기기가 첨단화되어 최소한의 일만 사람이 직접 다룬다는 것이다.우리나라의 조선해양개발 연구기관이 이런 ... ...
보이저2호,48억km의 여행끝에 천왕성의 신비벗겨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백kg 정도밖에 안되는 조그만 우주선 보이저 2호가 8년반 동안 48억km를 여행한
뒤
천왕성에 도달, 우주탐사에 개가를 올렸다.챌린저호의 비극으로 세계가 슬픔에 젖었을 때 우주탐사에 엄청난 성공이 있었다는 사실은 그 중요한 정도만큼 알려지지 않았다. 이유는 축제 분위기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들여놓은 우리나라로서는 여러가지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형편이다.더 이상 선진 제국에
뒤
떨어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레이저 광학 산업의 육성은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 ...
다윈은 과연 옳았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바로 태초에 생물이 존재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생물은 그
뒤
잇달은 지질시대를 통해 차츰 복잡하고 정교하게 발달, 진화되었다. 신다윈 주의자들은, 과거와 현재의 모든 원시적 생물체계가 끝없는 자기복제에 따른 모방(번식)의 시행착오와 그로 인한 다양한 변천과정의 ... ...
남자도 아기를 낳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버렸으리라. 자리를 잡은 수정란은 자궁의 도움을 빌지 않고 임신기간을 무사히 채운
뒤
출산에 이르렀던 것이다.이제 자궁이 없어도 아이를 낳는다는 게 실증된 셈이다."이 출산으로, 수정란을 복막에 착상시키면 남성도 임신할 수 있음이 증명 되었읍니다."마가레트의 주치의인 '피터 잭슨' 박사는 ... ...
우리나라에는 왜 소나무가 흔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이 말은 1920년경 동경대학의 '혼다'(本多)교수가 조선총독의 초청으로 한국임야를 시찰한
뒤
귀국하여 강연을 하던중 "소나무가 산에 많아지면 나라가 망한다"고 한데서 비롯됐다.그러나 소나무는 반드시 배척될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나무의 변종인 금강송은 페인트의 도움없이 수백년을 ... ...
이전
1273
1274
1275
1276
1277
1278
1279
1280
1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