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유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모피는 부드럽고 두꺼우며, 털은 길다. 또 머리 얼굴 4지와 꼬리는 흑갈색이고 귀
뒤
로부터 한줄의 띠가 있다. 하늘다람쥐는 빼놓을 수 없는 우리나라 특산아종(亞種). 백두산에서 3개체, 경기도 양주군에서 1개체, 설악산에서 6개체, 가평에서 2개체가 채집됐으나 전국 각지에서 상당히 많이 ... ...
사라지는 동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것으로 알려졌다. 남한에서는 표범이 목격된 바 없으나 간혹 지리산에서는 눈내린
뒤
에 발자국이 발견된 적이 있다고 하나 불확실하다. 곰도 설악산 지리산 등지에서 살고 있으나 남획으로 인해 점차 희귀해져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이 밖에 늑대와 여우 삵 사향노루 산양 등 우리 귀에 친숙한 ... ...
날로 늘어나는 비만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다른 요리가 나와도 더 먹지 않지만 비만자는 태연하게 차근차근 먹어치운다. 즉 포식
뒤
에도 만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또 걱정이 있거나 불안하거나 하면 밥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는것이 보통인데 비만자는 거꾸로 먹는 양이 늘때도 있다. 또 재미있는것은 항상 저녁식사를 6시에 한다면 ... ...
정보통신 기술서적 6종 발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컴퓨터와 새로운 통신기술이 프랑스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뒤
에 작성된 것이다. 주요 내용은 컴퓨터와 통신의 신기술에 대한 국가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앞으로 닥쳐올 변화는 매우 광범위하므로 이에 대처할 통일된 국가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미국과 소련의 피눈물나는 경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도 일본도 그리고 중국도
뒤
질새라 우주사업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일본도 우주왕복선을 자체개발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실정은 너무나도 한탄스럽다. 지구에 더 이상 살수가 없어서 남의 나라들이 우주대이민을 위해 떠날려 할때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제껴 놓고 보드카를 한잔 마시게 하고 마른 옷을 갈아 입혀준
뒤
따뜻한 음식을 준다. 그런
뒤
비로소 당신은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 사람인가를 묻는 것이다. 강풍이 사납게 불고 있을 때는 문 밖에서 세걸음 떨어진 곳에서도 동사할 위험이 있는 이땅에서는 사람들이 서로 도우지 않으면 살아갈수가 ... ...
LA─도쿄를 두시간에 하늘의 오리엔트특급 HST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수 있었다. X-1 초음속 비행으로부터 '충격파'를 알게 되었고 이것이 비행기가 지나간
뒤
에 수마일 퍼져나가 창문을 흔들어대고 목재건물에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제트엔진 시대로 접어듬에 따라 2백인승 707기, DC-8기등이 대양을 정기적으로 날게 되었고 비행기 제작자들은 더많은 사람을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어렵게 되었다. 1945년경에만 해도 동해의 독도(獨島)에는 바다사자가 있었는데 그
뒤
에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서해나 남해의 진흙길의 조간대에서 흔히 볼 수 있던 농게는 간석지의 간척으로 말미암아 서식처를 잃어 없어져 가고 있다. 아득한 옛날에 살았던 동물들 가장 오래된 동물은 5억천만년 ... ...
챌린저의 비극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컴퓨터의 송신 데이타 분석이 동원되고 있다. 스페이스셔틀 챌린저가 발사된후 약74초
뒤
의 폭발까지 사이에 무엇이 일어났는가. 폭발 되기까지의 영상은 전 세계에 비쳤지만 영상만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알수 없다. 원인 해명을 하는데 중요한 것이 챌린저에서 보낸 텔리 미터링의 데이타이다. ... ...
한국 과학자의 자화상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최초의 체계적인 여론조사였다. 과학 기술의 진흥은 무엇보다 실상을 정확히 파악한
뒤
그 시책을 펴나가야 한다는 판단 아래 실시된 이 조사의 설문작성에는 고려대교수 김정흠박사와 과학저널리스트 현원복씨가 협조했고 결과분석은 고려대교수 홍기선박사와 건국대강사 권혁남씨가 맡았다. ... ...
이전
1275
1276
1277
1278
1279
1280
1281
1282
1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