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어펜져스’ 맏형을 만나다, 승리 비결은 집중 또 집중!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2021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한국 펜싱 국가대표팀 맏형, ‘어펜져스(어벤져스+펜싱)’ 리더, 펜싱 신사. 과연 누구일까요? 주인공은 바로 펜싱 사브르★ 국가대표 김 ... 없더라도, 올림픽에 출전하는 다른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도록 노하우를 전수하면서 뒤에서 노력할게요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사실도 밝혀졌어요. 새끼 기린의 무늬가 어미보다 크고 복잡할수록 새끼 기린은 태어난 뒤 처음 몇 달 동안 살아남을 가능성이 컸죠. 앞으로 연구팀은 아빠 기린과 새끼 기린의 무늬 사이에도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해요. 동물에게 배운 지혜여기에도 기린 무늬가 있네~ ... ...
- [헷갈린 과학] 대게는 영어로 ‘킹크랩’이 아니다?! 대게 VS 킹크랩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금지돼 있어요. 2016년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는 대게가 그물에 걸려 붙잡힌 뒤 풀려나도 생존률이 97%에 달한다고 밝혔답니다. ‘대게’에서 ‘대’는 ‘대나무’에서 따온 말이에요. 사진에서 보듯 대게의 다리는 얇고 길어요. 이런 점이 대나무를 닮아 ‘대게’라는 말이 붙었지요.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서로 뭉쳐질 수 있어요. 그 결과, 인공 눈이 탄생한답니다. 이번 실험을 직접 해본 뒤 실험 사진을 어과동 홈페이지 에 올려 주세요. 응모해 준 친구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3화. 위기에 처한 고딱지! 빠져나올 방법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상한 음식을 내놓다니! 아이고, 배야! 어서 공작 나오라 그래!”동시에 밖에서 공작의 뒤를 따라온 경비병이 공작을 불렀습니다.“공작님, 지금 파티장에서 한 손님이 난동을 부리고 있습니다.”비밀번호를 누르는 소리가 멈췄습니다. 복사 진행률은 90%를 넘고 있었습니다.“뭐라고? 무슨 일이야 ... ...
- [시사 과학] 직접 맞아 봄! 코로나 19 백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정도로 통증이 나았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1주 뒤에 2차 접종이 이뤄집니다. 그 2주 뒤 항체가 생긴다면, 코로나19로부터 조금은 안심해도 된다는 게 든든하게 느껴집니다. 한국 어린이는 코로나19 백신 언제 맞을까? 5월 11일,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만 12~15세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코딩 기초 코드작성기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을 누르세요.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한 뒤 ‘파일 저장’을 누르세요. 파일 경로를 지정한 뒤 저장해 주세요. 세 번째 코드 불러오기 작성한 코드가 사라졌거나 다른 컴퓨터에서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 경우 저장된 코드를 가져오면 돼요. ➊ 코드작성기의 왼쪽 위에 [처음 화면] 버튼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과 항문 사이의 부위. 길이는 약 12cm 정도이다. 에필로그“어, 그러니까…, 제 뒤꽁무니로 액체를 넣으면…, 숨을 쉴 필요가 없다는 거죠?”왕자가 당황스러운 표정으로 꿀록을 쳐다보더니 말했어요.“아무래도 이 방법은 힘들 것 같아요. 설사 이렇게 해서 물속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인어공주가 ... ...
- [잡터뷰] 미래 모빌리티 앞당기는 자율주행 자동차 플랫폼 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중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경로 계획 시스템이 완성되면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뒤 실제 자동차에 장착해 도로에서 주행시험을 거친다. 이 모든 과정에 1년에서 최대 4년의 시간이 걸린다. 이 선임연구원은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잘 만든 시스템이라도 실제 도로에서는 정상 주행이 어려울 수 ...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래서 조리도구를 통한 식중독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지요. 이경균 선임연구원은 “3년 뒤에는 이 기술이 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을 것”이라며 “식중독균뿐 아니라 다양한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데 활용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답니다. 이경균(나노종합기술원 나노바이오기술센터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