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우동수비대 모여라! 동물· 곤충 사진 잘 찍는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유용하죠.촬영법도 간단해요. 검지손가락으로 위쪽 줌 버튼을 누르며 사물을 확대한 뒤, 촬영 버튼을 누르면 끝이지요. 녹화 버튼을 누르면 영상을 찍을 수 있고, 카메라를 스마트폰과 와이파이로 연결하면 찍힌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나의 첫 반려 로봇?! 보행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연결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을 조작할 수 있어요. 덕분에 다리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뒤로 걷거나, 집게를 오므렸다 펼 수 있답니다. 알아보자!4족 보행 로봇의 진화 바퀴가 달린 자동차는 평평한 땅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어요. 하지만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지형에서는 바퀴로 ...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래서 조리도구를 통한 식중독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지요. 이경균 선임연구원은 “3년 뒤에는 이 기술이 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을 것”이라며 “식중독균뿐 아니라 다양한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데 활용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답니다. 이경균(나노종합기술원 나노바이오기술센터 ... ...
-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➋ 좌표(-20, 4, -20), 좌표(40, 4, -20)의 NPC에도 같은 방법으로 커맨드블록을 설치한 뒤 다음 명령을 각각 입력했어요. 세 번째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바꾸는 커맨드블록 만들기 서바이벌 모드였던 플레이어를 다시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바꿔주는 명령도 필요해요. 그래서 케이크 중앙 안쪽으로 ... ...
- [JOB인터뷰] 춤에도 수학이 필요해! 김설진 무용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공연도 했지요. 고등학생 때는 서울로 가서 가수 김원준, 코요태 등의 백댄서(가수 뒤에서 춤추는 사람)를 하면서 춤을 배웠어요. 춤을 잘 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사람이 몸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자세히 관찰하고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 다큐멘터리나 애니메이션 속 등장인물의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형태로 만들어 활동성과 보온성을 함께 얻었다”고 설명했다. “세탁을 20번 정도 한 뒤 저항 실험을 했을 때 열전도율도 떨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는 일반인들이 겨울 레저활동에 입을 수 있는 옷도 함께 디자인하고 있다. 아웃도어 브랜드에서 일부 전자 제품과 기술이 포함된 발열 ... ...
- “초기 우주의 블랙홀 및 은하의 생성과정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무거운 은하들이 모여 있는 환경을 선호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한편 그 예상을 뒤집는 관측도 존재합니다. 두 번째 프로그램에서는 JWST 관측으로 초기 우주 퀘이사가 정말 원시 은하단을 선호하는지 그 여부를 파악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활동성은하가 초기 우주의 중성 수소를 ... ...
- 평양의 과학도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높은 부모님과 외할머니와 함께 살았습니다. 어머니는 피복학(의류학)을 공부한 뒤 장사를 하셨고, 외할머니는 당시 드문 여성 과학자였습니다. 유기화학을 전공하시고 종이 공장에서 오랜 기간 일하셨습니다.주로 외할머니가 공부를 시키셨는데,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질 틈도 없이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서로 약한 힘(반데르 발스 결합, 수소 결합, 소수성 결합 등)으로 결합시켜 결합체를 만든뒤, 이를 이용해 각 분자의 특성을 평가하는 기술입니다.연구팀은 먼저 두 시알산과 결합하는 분자를 찾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바구니 모양의 나노분자인 쿠커비투릴(CB[7])이 기체 상태에서 두 시알산과 ... ...
- [잡터뷰] 미래 모빌리티 앞당기는 자율주행 자동차 플랫폼 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중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경로 계획 시스템이 완성되면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뒤 실제 자동차에 장착해 도로에서 주행시험을 거친다. 이 모든 과정에 1년에서 최대 4년의 시간이 걸린다. 이 선임연구원은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잘 만든 시스템이라도 실제 도로에서는 정상 주행이 어려울 수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