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곡물
쌀
곡식류
나락
쌀알
미곡
낟알
d라이브러리
"
곡식
"(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먼지의 영향
과학동아
l
199304
때문에 심한 가뭄이 평원지역을 강타한 1930년에는 드디어 비운이 닥쳤다. 불이 없어
곡식
은 죽고 토양을 유지할 아무 것도 없게 되었다. 1933년에 이르기까지 강한 바람이 환상적인 먼지폭풍을 일으킬 때마다 비옥한 표층토양은 날아가 버렸다. 먼지는 대기를 검게 하였고, 건물을 잠기게 하였으며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02
조성해 여러가지 꽃들을 잘 가꾸어 놓은 것이 볼 만하지만 거기에 보리 밀 메밀 등의
곡식
과 채소 외에 엉겅퀴 도라지 붓꽃 억새 애기똥풀 민들레 할미꽃 등을 심어 놓아 여간 보기 좋은 게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생식물인 복수초 처녀치마 은방울꽃 앵초 얼레지 등은 거기에서 ... ...
몽골
과학동아
l
199302
맛이 부드러운 점이 특징이다.중국 영토에 속하는 내몽골인과는 달리 외몽골에서는
곡식
을 먹지 않는다. 야채 과일 물고기도 잘 먹지 않는다. 오직 양고기와 쇠고기, 마유주를 즐겨 먹는다. 치즈처럼 만든 아로움도 즐기는 음식이다.늦가을에 한국에서 김장을 하듯 몽골에서도 소와 양을 한두 마리씩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12
유입돼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특히 농약은 농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입히며 농약이 잔류된
곡식
및 과일 등을 먹으면 암이 유발될 수도 있다.농약을 필요악인 문명의 도구로 받아들이고 참아야 하는 것인가. 농약의 피해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역시 자연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예를 들어 미생물은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09
그 소리를 듣게 하면 회복 된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쌀은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곡식
, 그리고 가장 맛있고 신비한 힘을 가진 식량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의 신사(일본의 여러 신을 모시는 절)는 전국적으로 8만개소 정도가 있는데 이곳에 반드시 '쌀의 신'을 모시고 있는 것으로 보아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03
택해오느냐에 따라 서식지가 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또 서식지의 조건으로는 먹이(
곡식
과 물)가 중요한 변수가 아닐까요.윤무부 맞습니다. 주남이 철새도래지로 부각된 것은 우선 인가에서 떨어지고 물이 맑으면서 수초가 많고 주변에 보리나 채소(시금치와 배추)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또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01
우선 우리가 풍부하게 입고, 먹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것도 고급 화학섬유의 옷감과
곡식
을 많이 수확할 수 있게 한 인조비료, 뛰어난 촉감의 건축자재를 발명했기 때문이다.그뿐만이 아니다. 안방에 앉아 텔레비전을 통해 수만리 떨어진 외국에서 우리나라 체육선수들이 다른 나라와 패권을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10
횐 노루를 잡았다는 기록이 꽤 많이 나온다.옛날에는 밤에 밭으로 내려온 노루가
곡식
을 먹은 뒤 돌아가는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포획했다. 아울러 몰이사냥도 즐겨 했고 노루의 모성애를 이용하는 특이한 노루사냥법도 개발해냈다. 암노루가 새끼를 낳는 단오 무렵, 피리를 불어 노루새끼의 우는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08
농사가 주업인 동양에서는 추석 설 등 중요한 명절이 가을과 겨울에 있다. 가을이 돼야 햇
곡식
을 수확하기 때문에 축제 가 가을에 집중돼 있는 것이다. 민속의 하나인 축제도 역시 식품을 얻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크리스마스 때 각자 자기 집에서 케이크를 만들어 먹는 유럽인의 습관은 17세기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07
이라고 밝혔다.얼마전 북한에서 김일성주석이 "까치가 이로운 새인줄 알았는데 오히려
곡식
을 갉아먹는 등 해를 미치더라"며 모든 까치를 잡아 죽이라는 교시를 내린 적이 있다는 얘기가 보도됐다. 인위적으로 생태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무지의 발로'라고 조류학자들은 입을 모은다. 울릉도 까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