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곡식"(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에는 어떤 음식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땅을 많이 차지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미래에는 인간이 먹을 곡식도, 가축의 사료로 쓸 곡식도 줄어 쌀밥도, 고기도 쉽게 먹을 수 없게 될지 몰라요. 과학자들은 고기, 우유, 치즈 대신 식물이나 곤충으로 만든 음식을 먹으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고 해요. 또, ... ...
- [출동, 슈퍼M] 레시피에 적힌 단위는 왜 제각각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얼음, 설탕은 모두 고체이므로 필요한 양을 g으로 나타낸 거예요.mL는 액체나 가루, 곡식을 담은 그릇의 들이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예요. 액체는 담는 그릇에 따라 모양은 변하지만 양은 변하지 않는 물질의 상태를 말해요. 탄산수와 레몬즙은 액체이므로 mL로 나타낸 거지요.그런데 왜 고체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타이어 교체 세계기록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기업이 돈을 벌고, 양송이 버섯을 먹을 때마다 이탈리아 기업이 돈을 번다는 사실! 바로 곡식이나 채소의 품종에도 그림 같은 창작물처럼 저작권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냥 한 번 씨앗인 종자를 사서 대대손손 기르면 되는 거 아니냐고요? 품종 개량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면 그 답을 알 수 있습니다. ...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곡식이나 과일 등을 연구하는 학문을 육종학이라고 해요. 우 박사는 쌀이나 보리 같은 곡식뿐 아니라 무와 배추, 감자와 밀감 등 식탁에 올라가는 식재료를 연구해, 사람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했죠.우 박사뿐 아니라,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큰 공헌을 한 과학기술자들이 있어요. ...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먼저 고대의 도구는 ‘세는’ 행위와 관련이 있어요. 예를 들어 지금은 시장에서 곡식을 팔 때 저울에 올려 무게 단위로 팔지만, 얼마 전만 해도 한 되, 두 되씩 그릇으로 덜어서 줬어요. 고대에도 얼마만큼 잴 수 있는 도구로 몇 번인지 세어서 크기를 가늠했어요. 세는 게 중요하지 정확한 무게는 ... ...
- [퍼즐마법학교] 루디체에서 도둑 맞은 사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오늘은 마법 세계의 축제, ‘루디체’가 열리는 날이야.잘 익은 과일과 곡식을 내준 땅의 정령에게 감사의 표시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다 함께 나눠 먹지. 난 사과 파이를 만들 거야.앗, 그런데 준비한 사과 바구니가 사라졌어! 축제가 곧 시작할 텐데 어떡하지? ...
- [똥손 수학체험실] 나랑 ‘물물교환’할래? 나는 말랑이 거래 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오래전부터 서로 필요한 물건을 주고받았어요. 이를 ‘물물교환’이라고 해요. 주로 곡식과 양, 소 등의 가축을 맞바꿨지요. 바로 이때 수의 역사도 시작됐어요. 내가 가진 물건이 몇 개인지 헤아리려면 하나, 둘, 셋…하고 수를 세야 했거든요. 이처럼 수는 무엇인가를 세기 위해 생겨났어요. 그런데 ... ...
- [특집] 티끌 모아 태산! 에너지 하베스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 내 농장에 오신 것을 환영하소. 곡식과 과일이 무르익는 10월의 어느 멋진 가을날, 아주 특별한 것을 수확하기 위해 이 농장을 찾았소. 무엇을 수확할지 궁금하지 않소?힌트를 살짝 주자면, 먹는 것이 아니고 짜릿짜릿한 거라고 할 수 있소. 궁금하면 날 따라 오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7세기부터 사용한 친환경 발전소예요. 과거엔 날개가 돌아가는 힘을 이용해 곡식을 빻거나 물을 길어 올렸고, 지금은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유익한 구조물이죠. 그런데 이 풍차를 ‘그래프’로 나타내도 유용하다는 것을 아나요? 우리 반 인싸의 특징을 가진 풍차 그래프그래프는 어떤 대상들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비중이 80%까지 올라갔지요. 이미 그린란드에 정착해 농사와 목축을 했을 텐데도 곡식과 고기의 비중이 줄어든 거예요. 고고학자들은 이 결과를 날씨가 점점 추워지면서 바이킹이 농사를 짓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 14세기 중엽부터 전 지구의 기온이 1~2℃ 낮아지는 시기가 찾아와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