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곡물
쌀
곡식류
나락
쌀알
미곡
낟알
스페셜
"
곡식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이루는 셀룰로스를 당으로 분해한 뒤 효모로 발효시키면 바이오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
곡식
작물이 아니므로 옥수수로 바이오연료를 만드는 것 같은 구조적 문제가 없다. 참고로 잡초는 ‘있지 말아야 할 곳에서 자라는 풀’로 정의되므로, 스위치그래스가 사료로 쓰일 때 이미 잡초의 범주를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비중이 80%까지 올라갔습니다. 이미 그린란드에 정착해 농사와 목축을 했을 텐데도
곡식
과 고기의 비중이 줄어든 겁니다. 고고학자들은 이 결과를 날씨가 점점 추워지면서 바이킹이 농사를 짓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14세기 중엽부터 전 지구의 기온이 1~2도 낮아지는 시기가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그런데 곡물의 영양소는 상당 부분 녹말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소화가 어렵다. 날
곡식
을 먹으면 배탈이 나는 이유다. 그런데 요리는 이런 문제를 일거에 해결해주었다. 푹 익히면 잘 소화된다. 수십만 년 전 불을 발명하지 않았다면, 수천 년 전 농업 혁명도 없었을 것이다. 불을 이용한 요리와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
2019.10.27
다시는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인류는 점차 곡류에 의존하게 되었다.
곡식
은 오래 보관할 수 있고, 교환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물론 힘센 사람이 세금을 거둘 수도 있다. 쌓아두는 사람과 빼앗기는 사람이 생겼다. 인류에게 빵과 불평등은 동시에 나타난 현상이다. 식이섬유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잠자리로 삼은 떼까마귀 10만 여 마리가 모입니다. 낮에는 근처의 논밭에 각기 흩어져
곡식
낱알과 같은 먹이를 찾아 떠났다가 해질무렵이면 다시 무리를 이루며 모입니다. 최유성 국립생태원 연구위원은 “해질 무렵 보이는 까마귀는 곧 잠자리로 들어간다”며 “수원의 경우 근처에 떼까마귀가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
IBS
l
2016.06.02
silo)에 감춰진 물리’라는 제목으로 우리의 연구성과를 소개했습니다. 미국에서는
곡식
을 저장하는 대형 사일로가 갑자기 무너져 큰 피해를 일으켰는데, 우리 연구성과로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을 통해 쌀 같은 알갱이 형태의 입자들이 구멍 형태의 출구로 나올 때 유체처럼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
IBS
l
2016.03.31
크게 기여했다.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인구가 급증하자 더 많은 식량이 필요했고,
곡식
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비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1910년경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가 공기 중의 질소와 수소를 이용해 질소비료의 주원료인 암모니아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⑤] 국가 에너지 안보와 풍력에너지의 중요성
동아사이언스
l
2014.08.18
이용한지는 적어도 3000년 이상 됐다. 20세기 초반까지는 주로 물을 끌어올리거나
곡식
을 갈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1891년 덴마크에서 풍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발전기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는 동안 에너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풍력발전기의 성능은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때문에 화장품 재료는 동서양이 비슷하다. 얼굴을 하얗게 만드는 분은 각 지역에서 나는
곡식
을 가루로 만들어 쓰다가 나중에는 납 가루를 공통적으로 썼다. 입술 화장에 사용하는 주사라는 광물도, 눈매를 강조하기 위해 나무를 태워 만든 먹도 같다. 사람들이 생각하고 지내는 것은 과거나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된다. 즉 도정 외에 아무런 추가 작업 없이 알곡 그대로 익혀도 식감이 뛰어난 유일한
곡식
이 바로 쌀이다. 반면 밀은 굳이 이렇게 먹겠다면 못 먹을 거야 없지만 식감은 쌀밥과 비교도 되지 않는다. 꽁보리밥을 생각하면 감이 올 것이다(진화상으로 보리는 벼보다 밀에 가까운 식물이다.) ... ...
1
2
다음
공지사항